민주당과 ‘혁신과통합’ 지도부, 박원순 서울시장, 김두관 경남지사가 11월13일 민주진보통합정당 출범을 위한 연석회의 준비모임을 열었다. 하지만 진보정당들은 선거 연대의 길을 택해 일단은 진보를 뺀 ‘민주통합정당’이 불가피해졌다. <한겨레> 박종식 기자
문재인, 김문수의 러브콜 재밌는 대목은 여권과 야권 양쪽 모두에서 안 원장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혁신과통합의 상임대표를 겸하고 있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지난 11월7일 국회 출입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안 원장의 범야권 합류를 위해 직접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이사장은 “가급적 내년 4월 총선 전부터 같이 활동할 수 있었으면 한다. 조만간 이런 우리의 뜻을 안 원장 쪽에 전하고 안 원장의 견해를 듣고 만날 수 있을지 타진하겠다. 안 원장의 현재 지지도가 계속되면 우리 진영의 대표선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나도 돕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대선주자 가운데 한 명인 김문수 경기도 지사도 적극성 면에서 뒤지지 않았다. 김 지사는 지난 11월15일 미국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한나라당이 안철수 같은 사람을 영입하기 위해선 박근혜 전 대표가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안 원장은 나보다 10배 이상 더 한나라당에 적합한 사람이다. 안 원장이 한나라당을 비판한 게 얼마나 되나. 내가 그보단 10배 더 했을 것”이라고도 했다. 보통 광역단체장들이 외국을 방문해 특파원들을 만나면 자신의 해외 방문 성과를 설명하는 데 열중하고 국내 정치 얘기를 곁들이는데, 이날은 작심한 듯 ‘박근혜 비판’과 ‘안철수 영입’ 주장으로 일관했다. 여기에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대(大)중도주의’ 정당을 구상 중인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도 숟가락을 얹었다. 박 이사장은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나라를 걱정하는 여러 사람들을 만나 의견을 듣고 있고, 12월에는 창당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안철수 원장과도 대동단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중도를 표방하지만, 최근 그의 행적을 보면 극우보수에 가깝다. 안철수 원장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영입 대상으로 거론되는 만큼 그에게 책임을 묻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어쩌면 진보개혁 진영과 보수 진영 양쪽에서 러브콜을 받는 것은 안 원장의 이념적 스펙트럼이 그만큼 넓다는 장점이 될 수도 있지만, 뒤집으면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단점이 된다. 안 원장의 정치적 태도는 ‘반한나라(“현 집권세력이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확장성을 가지는 것에 반대한다”)·비민주’로 요약할 수 있고, 한국 사회가 가야 할 방향에 대해 총론적 견해를 밝힌 적은 있지만 일부 경제 관련 분야 외에 각론은 불투명한 상태다. 서울시장 출마를 검토할 때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원인이 됐던 무상급식 문제에 대해, 그리고 최근 자신의 주식을 기부하며 저소득층의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을 언급했지만, 무상교육 등 복지 현안에 관해 뚜렷한 의견을 내놓은 게 없었다. 보수 세력 재편은 어떻게 되나 현존하는 정당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한나라당(1997년 11월 창당)은 존속할까. 한-미 FTA 국면이 끝나면 한나라당에는 ‘쇄신 파동’이 기다리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색깔을 지우고 쇄신하는 과정에서 친이계와 친박계-쇄신파 연합의 갈등이 고조될 전망이다. 한때 ‘박근혜 신당설’이 불거질 정도로 양쪽의 골이 깊다. 한나라당 바깥의 ‘박세일 신당’도 이런 흐름과 무관치 않다. 따라서 한나라당을 포함한 보수세력도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본격적인 정치의 계절이 성큼 다가왔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