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임삼진 자치개혁연대(준) 실행위원회 위원장·녹색연합 사무처장
-시민·사회 활동가들이 내년 지방선거에 대거 출마하려는 이유는?
=지난 10년 동안의 지방자치 경험을 통해 시민사회 영역으로 봐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됐다. 많은 시민·사회단체 지도자들, 특히 지방의 지도자들은 그동안 활동에 엄청난 한계를 느꼈다. 정책캠페인이나 제도개혁 운동에 주력했지만 지방자치는 계속 왜곡됐다. 이제 인적개혁도 중요하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총선연대 활동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총선연대만큼의 관심과 영향력을 확보할지 의문인데.
=집중적인 지원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역사회에서 얼마나 신뢰할 만한 후보를 발굴하고, 개혁의 방향과 이를 실천할 비전을 주민과 공유해내느냐에 성패가 달렸다. 철저한 내부 검증과 시민이 참여하는 예비경선 등 진정한 시민후보로 설 수 있는 모든 과정을 거치겠다. 이런 노력이 주민과 언론에 신선함을 준다면 여론은 우리를 선택할 것이다.
-시민단체가 1천명의 후보를 낼 경우 지역운동이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분명히 그런 시각이 있다. 그러나 지금 거론되는 몇개 지역에서 출마를 생각하는 이들을 거꾸로 확인하면 오해는 풀린다. 대부분 지역사회에서 20년 가까이 뼈를 묻은 사람들이다. 그들이 그동안 쌓은 사회적 신뢰와 열정을 바탕으로 지역정치에 진출하는 것이 시민사회 내의 순환을 촉진하는 긍정적 의미도 많다. -‘또 하나의 지역정당’ 실험이라는 비판과 순수성 훼손을 질타하는 시각도 있는데. =우리도 부담스런 대목이다. 하지만 지방자치에서 요구되는 정치행위는 대부분 공익적 행위다. 시민사회 이해와 대립하는 게 아니다. 지방정치를 합리화·정상화해 주민복리를 증진하는 것은 시민사회의 요구와 맞는다. 참여동기 자체를 비판하기보다는 당선된 뒤 공익에 의거하지 않을 때 비판해야 한다. -참여연대, 경실련 등은 순수성 훼손을 크게 우려하는 것 같다. =그런 다양한 해석이 서로를 비판하기보다는 긍정하는 쪽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번 참여로 시민사회의 순수성이 의심받는다는 지적이 있다면 출마자들은 시민운동을 할 때보다 더 성실하게 일함으로써 시민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그를 통해 지방자치 전체의 질을 끌어올리고, 시민운동의 발전을 위한 자양분도 얻을 수 있다. 현재 영·호남은 사실상 보수정당 1당 체제다. 과연 시민사회가 그것을 계속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가. 기성 정치권 안에서 훌륭한 사람이 수혈돼 지방정치를 바로세우기만을 기대하며 당장의 병폐를 계속 용인하는 것을 꼭 정의라도 볼 수는 없다. 그것은 한계에 다다랐다. 이제 변화와 개혁이 필요하다. -어느 정도 성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나. =신뢰받는 인사의 경우 절대 다수가 당선될 것으로 본다. 71년 일본에서 시민후보가 몰고왔던 ‘혁신자치체’의 바람은 많은 점을 예고한다. 당시 시민후보가 무소속으로 나서자 언론은 해프닝에 그칠 것이라 평가했다. 그러나 시민사회의 신뢰와 사회당을 비롯한 군소정당의 지지를 바탕으로 도쿄, 오사카, 교토 지사 등 11개 주요 도시의 단체장을 석권하는 등 유권자의 60% 이상이 사실상 시민후보를 선택했다. 우리도 시민의 신뢰와 진보진영이 힘을 결집한다면 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환경련, 여성연합, 민주노동당 등이 각자의 깃발을 들고 후보를 내려 한다. =나는 낙관한다. 과거 1기 지방선거 때 시민후보를 자임하는 그룹, 민중당 그룹 등이 같은 동네에서 서로 분열하는 모습마저 보였다. 그런 아픈 경험이 또 되풀이되지는 않을 것이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개혁세력이 힘을 모아야만 성공시킬 수 있다. -무슨 묘안이 있나. =서로 경합할 때는 경선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 대화와 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되 필요하면 예비선거 등 경선을 치러 최종적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하겠다. 아름다운 경쟁을 통해 상대에게 승복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훨씬 의미가 크다.

사진/ (강창광 기자)
-시민단체가 1천명의 후보를 낼 경우 지역운동이 붕괴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분명히 그런 시각이 있다. 그러나 지금 거론되는 몇개 지역에서 출마를 생각하는 이들을 거꾸로 확인하면 오해는 풀린다. 대부분 지역사회에서 20년 가까이 뼈를 묻은 사람들이다. 그들이 그동안 쌓은 사회적 신뢰와 열정을 바탕으로 지역정치에 진출하는 것이 시민사회 내의 순환을 촉진하는 긍정적 의미도 많다. -‘또 하나의 지역정당’ 실험이라는 비판과 순수성 훼손을 질타하는 시각도 있는데. =우리도 부담스런 대목이다. 하지만 지방자치에서 요구되는 정치행위는 대부분 공익적 행위다. 시민사회 이해와 대립하는 게 아니다. 지방정치를 합리화·정상화해 주민복리를 증진하는 것은 시민사회의 요구와 맞는다. 참여동기 자체를 비판하기보다는 당선된 뒤 공익에 의거하지 않을 때 비판해야 한다. -참여연대, 경실련 등은 순수성 훼손을 크게 우려하는 것 같다. =그런 다양한 해석이 서로를 비판하기보다는 긍정하는 쪽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번 참여로 시민사회의 순수성이 의심받는다는 지적이 있다면 출마자들은 시민운동을 할 때보다 더 성실하게 일함으로써 시민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그를 통해 지방자치 전체의 질을 끌어올리고, 시민운동의 발전을 위한 자양분도 얻을 수 있다. 현재 영·호남은 사실상 보수정당 1당 체제다. 과연 시민사회가 그것을 계속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가. 기성 정치권 안에서 훌륭한 사람이 수혈돼 지방정치를 바로세우기만을 기대하며 당장의 병폐를 계속 용인하는 것을 꼭 정의라도 볼 수는 없다. 그것은 한계에 다다랐다. 이제 변화와 개혁이 필요하다. -어느 정도 성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나. =신뢰받는 인사의 경우 절대 다수가 당선될 것으로 본다. 71년 일본에서 시민후보가 몰고왔던 ‘혁신자치체’의 바람은 많은 점을 예고한다. 당시 시민후보가 무소속으로 나서자 언론은 해프닝에 그칠 것이라 평가했다. 그러나 시민사회의 신뢰와 사회당을 비롯한 군소정당의 지지를 바탕으로 도쿄, 오사카, 교토 지사 등 11개 주요 도시의 단체장을 석권하는 등 유권자의 60% 이상이 사실상 시민후보를 선택했다. 우리도 시민의 신뢰와 진보진영이 힘을 결집한다면 돌풍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환경련, 여성연합, 민주노동당 등이 각자의 깃발을 들고 후보를 내려 한다. =나는 낙관한다. 과거 1기 지방선거 때 시민후보를 자임하는 그룹, 민중당 그룹 등이 같은 동네에서 서로 분열하는 모습마저 보였다. 그런 아픈 경험이 또 되풀이되지는 않을 것이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개혁세력이 힘을 모아야만 성공시킬 수 있다. -무슨 묘안이 있나. =서로 경합할 때는 경선을 배제할 이유가 없다. 대화와 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되 필요하면 예비선거 등 경선을 치러 최종적으로 단일대오를 형성하겠다. 아름다운 경쟁을 통해 상대에게 승복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훨씬 의미가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