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새 총무 강성 이재오 의원… “신뢰받는 국회위해 노력할 것”
이재오 한나라당 의원(서울 은평을). 그는 5월14일 임기 1년의 한나라당 원내총무에 당선됨으로써 오랜 숙원을 풀게 됐다. 지금까지 3차례나 총무경선에 도전했지만 번번이 쓴잔을 마셨던 그는 이날 오전 국회본청 146호에서 열린 한나라당 총무 경선전에서 경쟁자들을 거뜬히 물리쳤다.
이날 총무경선은 형식상 결선투표까지 치르는 치열함을 보였다. 그러나 이 의원의 당선은 대세였다. 1차 투표에서 그는 전체 투표의원 120명 가운데 과반수인 60명에서 1명 모자란 59명의 지지를 얻었다. 경쟁자인 안택수 의원의 30표, 안상수 의원의 24표를 합한 것보다도 많았다. 그리고 결선투표에서 75표를 얻음으로써 37표를 얻은 안택수 의원을 더블스코어로 따돌렸다.
이회창 총재의 운신폭 넓힐 듯
이 총무의 등장은 개인적인 숙원성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 대여관계가 지금보다는 강성으로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총무는 한나라당 안에서 이른바 ‘강경파 초재선 그룹’을 이끌어온 핵심인물이다. 지금까지 주요 고비마다 한나라당 지도부의 대여 타협노선을 비판하며 강경투쟁을 주문해왔다. 지난해 11월 한나라당이 오랜 장외투쟁에 대한 비판여론을 의식해 전격등원을 결정했을 때도 그는 최후까지 반대했다. 물론 이 총무는 경선 내내 이런 강성 이미지를 완화시키는 데 주력해왔다. 그동안 “의원들과 지도부의 뜻을 거스르는 원내총무가 되지 않겠다”며 한표를 호소해왔다. 14일 총무경선 정견발표 때도 “의원들이 이재오에게 염려하는 부분을 잘 헤아리겠다”면서 “총무 개인이 싸우고 싶다고 싸우는 게 아니다. 의원의 심부름꾼이 되겠다”고 거듭 약속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안팎에서는 그의 이런 발언에도 불구하고 온건 대화노선을 고수했던 전임 정창화 총무 때와는 전혀 다른 대여관계 및 의회전술이 펼쳐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 전 총무는 그동안 “국회가 파행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는 소신을 지키려 애썼다. 때문에 여당 총무와 온건한 내용의 합의를 자주 이끌어냈고, 이런 합의가 한나라당 의원들의 내부 반발로 번복되는 경우도 많았다. 더욱이 이회창 총재가 이 의원을 총무로 선택한 정치적 노림수를 볼 때도 이 총무의 대여 강경노선은 불가피하다. 한나라당 안에서는 그동안 전임 정 총무의 대여 타협노선이 이 총재의 운신폭을 좁혔다는 지적이 많았다. 정 총무는 자주 이 총재나 의원들의 정서와 다른 타협안을 이끌었고, 그때마다 이재오 신임총무 등 강경파들은 반발했다. 결국 이 총재가 전면에 나서서 이런 내부 분란을 봉합했고 이 과정에서 이 총재는 어쩔 수 없이 여야간의 타협안을 뒤집고 대여 강경투쟁을 부추긴다는 부담을 떠안아야 했다. 그러나 강경파인 이 총무가 여야 협상에서 야당쪽 주장을 좀더 강도높게 요구하면 이런 부담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이 총재는 여야 총무간의 극한 대립을 완화하고 화해와 대화로 정국을 풀어가는 조정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 총재의 한 핵심측근은 “이재오 의원의 대여 강경론이 대선을 1년여 앞둔 상황에서는 오히려 이 총재의 운신폭을 넓혀줄 것”이라며 “총재도 이 의원이 총무가 되기를 내심 바랐다”고 전했다. 이 총무도 당선 직후 “무리하게 대여 투쟁을 강행하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비굴한 협상도 하지 않겠다”는 말로 이 총재의 이런 요구에 화답했다. 재야 출신으로 개혁입법 처리 기대 다만 이 총무가 여야관계를 너무 극단으로 몰고갈 경우 이 총재에게 더 큰 부담을 안길 수도 있다. 결국 어떻게 적절한 강공으로 이 총재의 운신폭을 넓혀주느냐가 신임 이 총무의 과제인 셈이다. 한편 이 총무가 전민련, 민통련, 민중당에서 30년 이상 민주화 운동을 해왔다는 점에서 지지부진한 개혁입법 처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가 돈세탁방지법이나 국가보안법 등을 무작정 반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 총무도 당선 뒤 “지난 30년 동안 민주화 운동을 한 재야 출신으로 여당에 포진한 민주화 동지들과 신뢰받는 국회상을 만드는 데 노력할 것”이라며 몇 가지 포부를 밝혔다. 특히 “여당의 개혁입법 1개를 통과시킬 때마다 야당이 낸 개혁입법도 1개씩 동시에 통과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국회에 계류중인 돈세탁방지법을 국민의 요구를 수용하는 쪽으로 처리하고, 정국의 큰 흐름이 걸린 중대현안을 제외하고는 과감하게 크로스보팅도 허용할 것”이라는 말도 이런 기대를 부풀린다. 과연 이 총무가 그의 대여 강경노선을 개혁입법 완성과 신뢰받는 국회상을 만드는 순기능쪽으로 발현시킬지 아니면 끝없는 대결로 이끌지 관심있게 지켜볼 일이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사진/ 대화는 가고 투쟁이 온다? 한나라당 총무경선에서 선출된 이재오 당선자가 이회창 총재와 함께 인사를 하고 있다.(이용호 기자)
이 총무의 등장은 개인적인 숙원성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무엇보다 대여관계가 지금보다는 강성으로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총무는 한나라당 안에서 이른바 ‘강경파 초재선 그룹’을 이끌어온 핵심인물이다. 지금까지 주요 고비마다 한나라당 지도부의 대여 타협노선을 비판하며 강경투쟁을 주문해왔다. 지난해 11월 한나라당이 오랜 장외투쟁에 대한 비판여론을 의식해 전격등원을 결정했을 때도 그는 최후까지 반대했다. 물론 이 총무는 경선 내내 이런 강성 이미지를 완화시키는 데 주력해왔다. 그동안 “의원들과 지도부의 뜻을 거스르는 원내총무가 되지 않겠다”며 한표를 호소해왔다. 14일 총무경선 정견발표 때도 “의원들이 이재오에게 염려하는 부분을 잘 헤아리겠다”면서 “총무 개인이 싸우고 싶다고 싸우는 게 아니다. 의원의 심부름꾼이 되겠다”고 거듭 약속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안팎에서는 그의 이런 발언에도 불구하고 온건 대화노선을 고수했던 전임 정창화 총무 때와는 전혀 다른 대여관계 및 의회전술이 펼쳐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 전 총무는 그동안 “국회가 파행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는 소신을 지키려 애썼다. 때문에 여당 총무와 온건한 내용의 합의를 자주 이끌어냈고, 이런 합의가 한나라당 의원들의 내부 반발로 번복되는 경우도 많았다. 더욱이 이회창 총재가 이 의원을 총무로 선택한 정치적 노림수를 볼 때도 이 총무의 대여 강경노선은 불가피하다. 한나라당 안에서는 그동안 전임 정 총무의 대여 타협노선이 이 총재의 운신폭을 좁혔다는 지적이 많았다. 정 총무는 자주 이 총재나 의원들의 정서와 다른 타협안을 이끌었고, 그때마다 이재오 신임총무 등 강경파들은 반발했다. 결국 이 총재가 전면에 나서서 이런 내부 분란을 봉합했고 이 과정에서 이 총재는 어쩔 수 없이 여야간의 타협안을 뒤집고 대여 강경투쟁을 부추긴다는 부담을 떠안아야 했다. 그러나 강경파인 이 총무가 여야 협상에서 야당쪽 주장을 좀더 강도높게 요구하면 이런 부담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이 총재는 여야 총무간의 극한 대립을 완화하고 화해와 대화로 정국을 풀어가는 조정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 총재의 한 핵심측근은 “이재오 의원의 대여 강경론이 대선을 1년여 앞둔 상황에서는 오히려 이 총재의 운신폭을 넓혀줄 것”이라며 “총재도 이 의원이 총무가 되기를 내심 바랐다”고 전했다. 이 총무도 당선 직후 “무리하게 대여 투쟁을 강행하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비굴한 협상도 하지 않겠다”는 말로 이 총재의 이런 요구에 화답했다. 재야 출신으로 개혁입법 처리 기대 다만 이 총무가 여야관계를 너무 극단으로 몰고갈 경우 이 총재에게 더 큰 부담을 안길 수도 있다. 결국 어떻게 적절한 강공으로 이 총재의 운신폭을 넓혀주느냐가 신임 이 총무의 과제인 셈이다. 한편 이 총무가 전민련, 민통련, 민중당에서 30년 이상 민주화 운동을 해왔다는 점에서 지지부진한 개혁입법 처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가 돈세탁방지법이나 국가보안법 등을 무작정 반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 총무도 당선 뒤 “지난 30년 동안 민주화 운동을 한 재야 출신으로 여당에 포진한 민주화 동지들과 신뢰받는 국회상을 만드는 데 노력할 것”이라며 몇 가지 포부를 밝혔다. 특히 “여당의 개혁입법 1개를 통과시킬 때마다 야당이 낸 개혁입법도 1개씩 동시에 통과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국회에 계류중인 돈세탁방지법을 국민의 요구를 수용하는 쪽으로 처리하고, 정국의 큰 흐름이 걸린 중대현안을 제외하고는 과감하게 크로스보팅도 허용할 것”이라는 말도 이런 기대를 부풀린다. 과연 이 총무가 그의 대여 강경노선을 개혁입법 완성과 신뢰받는 국회상을 만드는 순기능쪽으로 발현시킬지 아니면 끝없는 대결로 이끌지 관심있게 지켜볼 일이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