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봄, 꽃이 지다

KTX 여승무원 10년의 기다림 그리고 “코레일 직원도, 불법 파견도 아니다”라는 대법원 판결 김흥구 사진가, 그녀들의 오랜 겨울을 담다

1055
등록 : 2015-04-03 15:12 수정 :

크게 작게

겨울을 이기고, 봄은 어김없이 돌아왔다. 그 어느 해보다 차가운 봄을 맞이한 KTX 해고 여승무원들은 다시 10년 뒤, 어떤 봄을 마주하게 될까. 2006년 8월 양평으로 떠난 수련회에서.
10년의 긴 싸움이었다. 1심과 2심 모두 재판부는 그녀들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러나 대법원에서 판결이 뒤집혔다.

10년의 긴 기다림이었다. 꽃 같던 청춘이 졌다. 스물여섯 청춘은 어느새 서른여섯,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다. 오랜 기다림은 ‘파기환송’으로 돌아왔다.

그 모든 시간이 물거품 되어 사라졌다.

마지막 희망이었다. 그녀들의 바람은 단 하나, 그저, 옳았음을 인정받고 싶었다. 10초 만에 끝난 선고로, 그들의 10년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 돼버렸다.

어둡고 긴 터널의 끝, 이 길고 긴 싸움의 종착역은 어디일까.

겨울을 이기고, 봄은 어김없이 돌아왔다. 그 어느 해보다 차가운 봄을 맞이한 그들은, 다시 10년 뒤, 어떤 봄을 마주하고 있을까.

화장 합숙소에서 한 해고 승무원이 화장을 고치고 있다. 꽃 같던 청춘들이었다. 비정규직이 무엇인지 불법파견이 무엇인지도 모르던 20대의 어린 청춘들이 10년이란 긴 싸움 속에 가정을 이루고 아이의 엄마가 되었다. 2006년 5월21일. 

뒷모습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 속 긴 어둠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KTX 승무원입니다”. 2008년 5월22일.


국회 헌정기념관 KTX 해고 승무원 80여 명이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당시 한명숙 총리 내정자 면담을 요구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추위에 떨며 밤새 농성한 승무원들은 이튿날 투입된 경찰에게 강제 연행됐다. 2006년 4월19일.

구두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농성 중인 KTX 해고 승무원들이 소지품을 찾기 위해 KTX 승무 본부 로커룸을 찾았다. 오랜 시간 주인을 찾지 못한 구두가 하얀 먼지로 뒤덮여 있다. 2006년 3월9일.
사진·글 김흥구 사진가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