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다리를 되찾았다. 삶의 희망도 되찾을 수 있을까?’ 지난 11월12일 국제적십자·적신월사(ICRC)가 운영하는 아프가니스탄 카불 정형외과센터에서 한 소녀가 엄마의 새 의족을 신기한 듯 만져보고 있다. REUTERS/ JERRY LAMPEN
‘삶은 오래 지속된다.’ 카불 정형외과센터에서 진료를 마친 한 소녀가 한 손으로 목발을 짚고 다른 손은 엄마에게 맡긴 채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AP PHOTO/ ALTAF QADRI
‘꿈, 되찾을 수 있을까?’ 목발에 의지해 센터를 찾은, 다리를 잃은 한 아프간 소녀가 처연한 표정으로 진료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AP PHOTO/ ALTAF QADRI
소아마비로 장애를 겪고 있는 한 아프간 어린이가 센터에서 보행 보조기를 낀 채 어머니의 손을 잡고 걷기 연습을 하고 있다. AP PHOTO/ ALTAF QADRI
센터에서 일하는 현지인 직원은 300명, 이들은 모두 장애인이다. 한 직원이 자신의 의족을 고쳐 끼우고 있다. REUTERS/ JERRY LAMPEN
‘누군가의 손이 되고 발이 될….’ 이곳 센터에선 한 달 평균 1800여 개의 의족을 만들어낸다. REUTERS/ JERRY LAMPEN
세계 최대 규모의 재활시설 중 하나로 꼽히는 카불 정형외과센터에서 일하는 현지인 직원은 모두 300명을 헤아린다. 이들 모두 장애인이다. 한 해 이곳에서 제작하는 의수·의족은 약 1800개, 휠체어와 목발 등 보행 보조기도 각각 1천 개와 6천 개가량 만들어진단다. 센터가 문을 연 뒤 지금까지 약 9만1천 명이 이곳을 거쳐갔다. 소아마비나 뇌성마비 등 질병에 의한 장애도 돌보고 있지만, 환자의 약 80%는 전쟁이 만들어냈단다. 전쟁은 오늘도 불을 뿜지만, 삶은 계속돼야 한다. 글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