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시상에서 질로 미련한 엿 사랑

701
등록 : 2008-03-13 00:00 수정 : 2008-12-12 16:32

크게 작게

30년 넘게 엿을 만들어온 송장근씨 부부, 며느리가 가업 잇겠다니 골병들까 걱정

▣ 담양=사진·글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두 사람이 마주 앉아 ‘합치고 당기고’를 거듭하자 노란 갱엿이 어느덧 하얗게 변해간다. 뻑뻑해진 엿가락에 화로의 김을 쐬자 부들부들해진다. 더워진 방문을 열고 차가운 공기를 쬐면서 길게 늘인 엿을 가위로 잘라내면 손가락 크기의 맛있고 달콤한 엿이 완성된다.

며느리 조성애씨(왼쪽)가 화덕 위에서 엿을 늘이는 동안 시어머니 김정순씨가 엿을 자르고 있다.

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지내 마을 송장근(75)씨네는 30년 넘게 엿을 만들어왔다. 부인 김정순(71)씨가 농한기에 먹고살 것이 없어서 시작한 게 이제껏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내가 시상에서 질로 미련혀. 겉보리 시치고 식혜 맹글고, 짜고 달이고 저스고(젓고) 한번 시작허믄 꼬박 이틀을 잠도 못 자고… 골병드는 재주인지도 모르고 시작혔응게.” 삼시세끼 밥은 먹는데 뭔 고생을 하나 싶어서 때려치우려 하는데 하나뿐인 며느리 조성애(48)씨가 가업을 잇고 싶다며 배우기를 원해 기술을 물려주었단다.

“말려도 소용없지라. 가르쳐달라고 허니 어쩔 거시요? 많이 맹글면 힘든께 쪼매씩만 허자 했는디, 어찌들 알고 찾는지….”

7시간 동안 가마솥에서 식혜를 달이며 쉴 새 없이 젓는다. 단순하지만 고된 일이라서 식구들이 돌아가면서 한다.

이 엿집엔 간판도 없다. 선전하고픈 생각이 없다. 주문이 많은 것도 안 반갑단다. 하나밖에 없는 며느리가 골병들까봐 걱정하는 시어머니의 마음이 애틋하다.

짠해하는 시어머니의 맘을 아는지 모르는지 며느리의 엿 자랑이 이어진다. “우리가 농사진 걸로 맹그는 우리 엿은 음식이지라. 몸에 좋으면서도 달고 맛나고…. 얼매나 보람진디요.”

7시간 동안 가마솥에서 식혜를 달이며 쉴 새 없이 젓는다. 단순하지만 고된 일이라서 식구들이 돌아가면서 한다.

갱엿이 식기까지 걸리는 2시간이 이틀간의 고된 작업 중에서 누릴 수 있는 유일한 휴식시간이다.

노란색 갱엿을 늘이고 합치고를 반복하자 점점 흰색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곳에서 일하는 윤순자 할머니(왼쪽)와 함께 엿을 자르고 있다.

엿에 생긴 구멍은 공기가 적당히 들어가 맛을 좋게 한다. 설 지나서 만든 엿의 구멍은 설 전에 만든 것보다 작다고 한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