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선서 떨어져도, 본선만 세 번 나가도, 구경만 해도 두근두근한 <전국노래자랑>
▣ 강화군=사진·글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농사지어요. 벼·고추 등 조금씩 다 해요. 여기 나올 욕심에 저희는 추수 거의 다 했어요. 세 번째 나온 거예요. 17년 전 한 번 했고, 10년 전에 하고. 제가 노래 못 불러도 운이 좋은 거지, 세 번다 예선 통과했는데, 상은 못 탔어요. 그전에는 500, 600명씩 왔더랬어. 지금은 바쁘니까 온 사람 수가 250명, 1차로 48명 정도 냉겼더랬어, 그러고 나서 또 16명 추리더라구. 노래 좋아하구… 밥은 입으로 먹어두 노래는 귀로 먹는 거거든. 그전엔 하아 잘 부른다 했거든. 양쪽 입가에서 침이 주르르 흐르고 앞이 촉촉하구 가슴이 짜해야 노래지.
지금은 노래를 귀로 먹어두 머리로 쳐 올라가니까 손과 발로 가니까 흔들어대거든. 예비 심사두 빨른 노래, 활동이 빠르고 즐겁고 명랑하게. 옛날 노래 조용하게 <한양천리> 부르면 알아주지 않거든. 옛날에 시골에서 진짜 아깝다고 했어. 들에 다니면서, 차 끌고 다니면서 불러.” 지난 10월17일 인천시 강화군 강화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전국노래자랑> 녹화 현장에서 <효녀심청>을 멋들어지게 부른 유기철(59·강화군 화도면)씨. 무대에서 내려온 지 한참이 지났건만 신명이 가시지 않는 듯 끝도 없이 떠들어댄다.
△“빰빰빰빠라 빰∼빠∼. 딩동댕동. 전구욱∼노래자랑!”
일요일 낮 12시10분이면 귀에 익숙한 시그널 음악이 나온 뒤 사회자 송해가 ‘전국노래자랑’을 외친다. <전국노래자랑>은 28년째 이어진 한국방송의 대표 장수 프로그램. 서민들의 가공되지 않은 끼가 사회자 송해씨의 구수한 입담과 함께 정겹게 펼쳐진다. 강화공설운동장.

지금은 노래를 귀로 먹어두 머리로 쳐 올라가니까 손과 발로 가니까 흔들어대거든. 예비 심사두 빨른 노래, 활동이 빠르고 즐겁고 명랑하게. 옛날 노래 조용하게 <한양천리> 부르면 알아주지 않거든. 옛날에 시골에서 진짜 아깝다고 했어. 들에 다니면서, 차 끌고 다니면서 불러.” 지난 10월17일 인천시 강화군 강화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전국노래자랑> 녹화 현장에서 <효녀심청>을 멋들어지게 부른 유기철(59·강화군 화도면)씨. 무대에서 내려온 지 한참이 지났건만 신명이 가시지 않는 듯 끝도 없이 떠들어댄다.

나영식씨가 1차를 통과하고 2차 예심 노래를 부르는 무대 앞에서 부인이 아들이 만들어준 플래카드를 들고 응원을 하고 있다. 결과는 아쉽게도 “수고하셨습니다”였다.

1차 예심에 250여 명이 참가했다. 한 사람의 노래는 채 1분을 넘지 않아 “합격”과 “수고하셨습니다”로 결정된다. 제작진이 심사를 하다 웃고 있다.

황순이씨가 박현빈의 <곤드레 만드레>를 부르고 있다. 딩동댕동~.

일요일 낮 12시10분이면 귀에 익숙한 시그널 음악이 나온 뒤 사회자 송해가 ‘전국노래자랑’을 외친다. <전국노래자랑>은 28년째 이어진 한국방송의 대표 장수 프로그램. 서민들의 가공되지 않은 끼가 사회자 송해씨의 구수한 입담과 함께 정겹게 펼쳐진다. 강화공설운동장.

한 아주머니가 따가운 햇살을 피하기 위해 신문지에 옷핀으로 여몄다.

유기철씨가 <효녀심청>을 부르고 있다. 방송 녹화에는 1차 예심 합격자 48명 가운데 2차 예심을 통과한 16명이 참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