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느낌이 좋아 사진 올렸습니다. 제 느낌대로 좋은 사진일까요?
한승우
느낌을 구체화해야: 사진을 잘 찍는 분과 못 찍는다고 생각하는 분 모두에게 느낌이란 중요한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셔터를 누르는 단계에선 뭔가 이유가 있기 마련인데 그게 바로 “뭔가 좋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막연한 느낌에 그치면 사진이 늘지 않습니다. 그래서 느낌을 구체화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어두운 역 구내를 보니 바깥과의 노출 차이가 크다” “실루엣으로 등장하는 역내와 철길의 구조물은 거리에선 잘 안 보이므로 특이하다” “공간을 분할하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시원하다” 등 사진에 등장하는 요소들을 뜯어서 살펴보고 느낌을 풀어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평소 좋은 장소,빛, 앵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수평의 기준을 쉬이 무시하지 마십시오. 이유 없이 기울이면 원칙이 없어지므로 찍을 때 놓쳤다면 나중에라도 바로잡아줘야 합니다. 안개 낀 풍경 지난 스위전이었죠. 축구가 끝나고 허탈한 마음에 밖을 내다보니 안개가 많이 끼었더군요. 바로 사진기를 들고 호수공원으로 나가 몇 장 찍어보긴 했는데…. 그때 찍은 사진 몇 장 올립니다. 동구리
흑백 같은 컬러사진:
사진의 위는 흑백처럼 보이다가 아래쪽에 이르러 카메라와 거리가 가까운 곳에선 안개도 옅어지고 마침 빨간 장미꽃이 자리잡아서 컬러가 강조되면서 전체적으론 신비감을 주고 있습니다.
안개가 아무리 짙은 사진이라 해도 비교할 대상이 없이 그냥 안개만 찍힌다면 짙음을 알아보기가 힘듭니다. 그러므로 이 사진처럼 대비적인 요소가 중요합니다. 사람의 위치와 역할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느낌을 구체화해야: 사진을 잘 찍는 분과 못 찍는다고 생각하는 분 모두에게 느낌이란 중요한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셔터를 누르는 단계에선 뭔가 이유가 있기 마련인데 그게 바로 “뭔가 좋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냥 막연한 느낌에 그치면 사진이 늘지 않습니다. 그래서 느낌을 구체화하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어두운 역 구내를 보니 바깥과의 노출 차이가 크다” “실루엣으로 등장하는 역내와 철길의 구조물은 거리에선 잘 안 보이므로 특이하다” “공간을 분할하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시원하다” 등 사진에 등장하는 요소들을 뜯어서 살펴보고 느낌을 풀어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것은 평소 좋은 장소,빛, 앵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수평의 기준을 쉬이 무시하지 마십시오. 이유 없이 기울이면 원칙이 없어지므로 찍을 때 놓쳤다면 나중에라도 바로잡아줘야 합니다. 안개 낀 풍경 지난 스위전이었죠. 축구가 끝나고 허탈한 마음에 밖을 내다보니 안개가 많이 끼었더군요. 바로 사진기를 들고 호수공원으로 나가 몇 장 찍어보긴 했는데…. 그때 찍은 사진 몇 장 올립니다. 동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