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곽윤섭 기자 kwak1027@hani.co.kr 
  
1. 닮은꼴 
  
 
 
 아들과의 장난이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다는 아빠와 아빠를 세상에서 가장 사랑한다는 아들입니다. 서로 많이 닮고 많이 사랑하는 이 두 사람을 바라볼 때 전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여자가 됩니다. /김경아
 
 
바로 옆에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는 것, 가까이 있는데도 잘 못 보는 것. 정답은 ‘행복’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답이 있습니다. ‘사진’입니다. 멀리 유명한 곳에 가서 찍지 않아도 됩니다. 뜻만 있으면 언제든지 주변에서 찍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진을 찍으려면 필요한 게 몇 가지 있습니다. 우선 아이를 들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하고, 따뜻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마음도 있어야겠죠. 2. 우도
 
 대학교 때 동생과 우도에 여행 갔을 때 찍은 사진입니다. 포즈를 잡기 위해 움직일 때 셔터가 눌러졌나 봅니다. 이날 사람들이 많았거든요. 하지만 앵글 안에는 파란 하늘과 푸른 잔디, 그리고 저뿐이네요. 이 사진을 볼 때면 그때의 여유로움이 생각납니다. /장은실
우연히 흔히 인물과 배경이 모두 잘 나오는 방법이라면서 ‘인물을 카메라에 가까이 오게 하여 배경과 같이 찍는다’는 팁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큰 건물이나 탑 같은 구조물을 배경으로 할 때 인물이 구조물 바로 옆에 있으면 사진에서 인물 크기가 작아지므로 그런 앵글을 피하라는 것이지요. 전 그런 기념사진을 권하고 싶진 않습니다. 우연히 그렇게 찍힌다면 모르겠지만 카메라 앞으로 다가오게 한 사진은 십중팔구 인물이 카메라를 의식해 딱딱한 사진이 돼버립니다. 그보다는 인물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피사체가 카메라를 별로 의식하지 않았을 때 찍는 게 낫다고 봅니다. 이 사진이 그런 느낌을 주네요. 찍으려고 작정하지 않았던 순간에 셔터가 눌러지면서 인물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담았습니다. 물론 수평이 안 맞고 짜임새가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오래 봐도 싫증이 안 난다는 장점이 더 커 보입니다.

바로 옆에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는 것, 가까이 있는데도 잘 못 보는 것. 정답은 ‘행복’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답이 있습니다. ‘사진’입니다. 멀리 유명한 곳에 가서 찍지 않아도 됩니다. 뜻만 있으면 언제든지 주변에서 찍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진을 찍으려면 필요한 게 몇 가지 있습니다. 우선 아이를 들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하고, 따뜻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마음도 있어야겠죠. 2. 우도

우연히 흔히 인물과 배경이 모두 잘 나오는 방법이라면서 ‘인물을 카메라에 가까이 오게 하여 배경과 같이 찍는다’는 팁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큰 건물이나 탑 같은 구조물을 배경으로 할 때 인물이 구조물 바로 옆에 있으면 사진에서 인물 크기가 작아지므로 그런 앵글을 피하라는 것이지요. 전 그런 기념사진을 권하고 싶진 않습니다. 우연히 그렇게 찍힌다면 모르겠지만 카메라 앞으로 다가오게 한 사진은 십중팔구 인물이 카메라를 의식해 딱딱한 사진이 돼버립니다. 그보다는 인물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피사체가 카메라를 별로 의식하지 않았을 때 찍는 게 낫다고 봅니다. 이 사진이 그런 느낌을 주네요. 찍으려고 작정하지 않았던 순간에 셔터가 눌러지면서 인물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담았습니다. 물론 수평이 안 맞고 짜임새가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지만 오래 봐도 싫증이 안 난다는 장점이 더 커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