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으로 밤 새우는 한 ‘대리운전자’를 쫓아서… 낮직장 ‘페인트 가게’ 잊고 매일 밤 잡는 희망의 핸들
▣ 사진·글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3월이 끝나가는데도 막바지 꽃샘추위가 돈다. 봄은 왔지만 봄은 오지 않았다. 뉴스에선 불경기가 가실 기미가 보인다고 얘기해도 서민들의 팍팍한 삶은 별로 달라진 게 없다. ‘희망’을 품어볼 만한 구석을 찾고 싶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지만 몇년 전 국제통화기금(IMF) 고개도 잘 넘지 않았던가. 질긴 생활력과 적응력으로 희망의 뿌리를 심은 이들이 조금씩 희망의 메시지를 읽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사는 이규철(41)씨는 낮에는 을지로4가의 페인트 가게에서 일하고, 밤에는 대리운전을 한다. 아내가 출근을 하고 난 오전 11시 즈음 일어나 막내 예진(7)이와 아침을 먹는다. 예진이 위로 있는 두 딸이 등교하는 모습은 영 보기 힘들다.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대리운전으로 생계를 꾸리는 이들이 10만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리운전이 하나의 전문직종으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정부는 ‘대리운전법’(가칭)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경찰청, 대리운전 업계와 택시 업계는 지난해 11월16일 국회 간담회에서 관련 법을 제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뻐꾸기대리운전 오만수(46) 사장은 “과거에는 부업으로 대리운전을 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전업 대리운전자 비중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며 “그만큼 불경기와 취업난이 심각하다는 방증이 아니냐”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서 삼성동까지 가는 일을 접수했다. 요금은 1만4천원이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사는 이규철(41)씨는 낮에는 을지로4가의 페인트 가게에서 일하고, 밤에는 대리운전을 한다. 아내가 출근을 하고 난 오전 11시 즈음 일어나 막내 예진(7)이와 아침을 먹는다. 예진이 위로 있는 두 딸이 등교하는 모습은 영 보기 힘들다.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대리운전으로 생계를 꾸리는 이들이 10만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리운전이 하나의 전문직종으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정부는 ‘대리운전법’(가칭)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와 경찰청, 대리운전 업계와 택시 업계는 지난해 11월16일 국회 간담회에서 관련 법을 제정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뻐꾸기대리운전 오만수(46) 사장은 “과거에는 부업으로 대리운전을 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전업 대리운전자 비중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며 “그만큼 불경기와 취업난이 심각하다는 방증이 아니냐”고 말했다.

이규철씨가 낮 동안 일하는 을지로4가 페인트 가게에서 손님을 기다리고 있다.

딸 둘이 학교에 간 시간 아빠는 막내딸 예진(7)이와 논다.

저녁 7시 뻐꾸기대리운전 사무실에 출근한다. 첫 ‘주문’이 올 때까지 개인휴대단말기(PDA)를 보며 기다린다.

손님의 차를 타지 않고 이동할 땐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대중교통이 끊긴 뒤엔 팀장이 차로 데리러 온다. 물론 비용이 발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