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2004 휴먼다큐멘터리 사진] 희망을 보여드립니다

532
등록 : 2004-10-27 00:00 수정 :

크게 작게

2004 휴먼다큐멘터리 사진공모 입상작 지상 전시… 은상·동상 및 입선 총 5작품 다시 발표

[ 한겨레21 창간 10돌 기념]


2004 휴먼다큐멘터리 사진공모 입상작 지상 전시전. ‘소외된 이웃, 함께 가야 할 마이너리티’라는 주제로 독자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이 펼쳐진다.




제531호에 발표됐던 수상작 일부 내용이 바뀌었음을 알립니다. 금상으로 선정된 장호열씨의 ‘생의 마지막 걸음-호스피스’와 은상에 선정된 김성열씨의 ‘노숙자와 부랑인’은 응모 요건에서 제시한 “2003년과 2004년 응모 마감일 사이”라는 작품 촬영기간에 맞지 않아 수상을 취소하게 됐습니다. <한겨레21>은 그동안 알림을 통해 여러 차례 사진의 출품 요건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드린 바 있습니다. 금상·은상의 취소에 따라 심사위원과 재협의해, 금상은 공석으로 두고 입선작 세 작품을 추가하여 전체 수상작을 다음과 같이 최종 결정했습니다.결격 사유를 빨리 발견하지 못해 발표를 번복하게 된 점을 깊이 사과드립니다. 아울러 앞으로도 작품 규정 등에 관한 원칙을 엄중히 지켜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소외된 이웃을 향한 <한겨레21>의 세상보기는 계속됩니다.


이번호 ‘창’은 <한겨레21> 창간 10돌을 기념하여 열린 2004 휴먼다큐멘터리 사진공모전(협찬 제너시스) 입상작으로 꾸밉니다. ‘소외된 이웃, 함께 가야 할 마이너리티’라는 주제로 다양한 시선을 펼쳐보인 독자 작가들의 작품을 기쁜 마음으로 소개합니다.

시상식은 10월 28일 한겨레신문사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은상(상금 200만원과 상패) 김영숙씨의 ‘인도의 아이들’

·동상(상금 100만원과 상패) 김경호씨의 ‘이방인’

·입선(상금 50만원과 상패) 이민규씨의 ‘욕심쟁이’

·입선( " ) 최윤수씨의 ‘희망을 주는 신문배달부’

·입선( " ) 김영식씨의 ‘삼일아파트’

<은상> 김영숙 ‘인도의 아이들’

‘인도의 아이들’은 2003년 여름과 겨울에 인도의 최극빈 지역(카스트제도의 4개 신분에도 끼지 못하는 불가촉천민이라 불리는 집단)과 여러 장애시설에서 자원봉사하는 사람들을 촬영한 것이다. 주로 마더테레사 병원과 둥게스와리 마을의 사진들로 구성된다.

마을 사람들을 위해 우물을 만들었다. 항아리로 물을 길어 목욕을 시켜준다. 마냥 기쁜 아이의 표정에서 신분 격차의 그늘은 잠시 사라진다.

길에 버려진 병든 노인들을 위한 시설. 몸을 움직이지 못하기에 식사를 도와줘야 한다.

무더운 여름철 날씨로 인해 아이 머리엔 상처 고름이 부지기수다.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자 상처 부위에 공기가 잘 접촉되도록 머리카락을 잘라준다.

이 아이의 눈동자에 비친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가난과 질병 없는 사회에서 살 수 있도록 도와줄 이웃이 필요하다.

버려진 장애아들을 위한 시설. 앞도 못 보고 말도 못하는 상태다. 소리를 내어 말을 걸고 안아주는 걸로 친구가 되고자 한다.

<동상> 김경호 ‘이방인’

‘이방인’은 대구 인근의 한 공단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를 촬영한 것이다. 작가는 “처음 카메라를 들이밀었을 땐 외국인 노동자들의 충격적인 모습을 일반인들에게 알리는 작업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했지만, 사진 작업이 마무리될 즈음엔 그들이 ‘생산의 도구’가 아닌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알리는 게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고 밝혔다.

친구를 만나러 시내에 가기 전에 면도를 하고 있다.

종교단체의 주선으로 열린 체육대회의 점심시간. 각 나라 고유의 음식이 도시락으로 전해졌다.

스리랑카 전통놀이를 하고 있는 산지와. 프레스 작업 중 손가락을 잃었지만 늘 미소와 유머를 잃지 않고 산다.

전날 과음한 주말엔 일요일 낮까지 잠에 빠진다.


△ 하루의 피로를 털어내기 위해 샤워장으로 가는 외국인 노동자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