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람셀라(7)는 어릴 때 성기 부분에 화상을 입어 고환이 부었다. 크게 부푼 고환 때문에 바지를 입을 수 없고, 통증은 점점 더 심해진다. 시내 큰 병원으로 가야 하지만, 로힝야족은 검문소를 통과할 수 없어 치료받지 못한 채 생활하고 있다.
나무로 지은 집에 빨래를 널어놓았다. 카틴픽핀차이 마을의 집들은 불법 건축물로 전기 및 상하수도 시설이 들어와 있지 않다. 10여 가구는 태양열을 이용해 낮에 전화기를 충전할 수 있지만, 비싼 설치비 때문에 모든 집이 태양열 설비를 할 수 없다.
아이가 요람에서 잠을 자고 있다. 의료 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인 이 마을에선 어린아이들이 원인 모를 병으로 목숨을 잃는다. 이 아이의 할머니인 알롬바하르도 어린 자녀 한 명을 알 수 없는 병 때문에 잃었다.
마을에서 만난 25살 아부다르다는 길 건너 마을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초등학교의 선생님이다. 아부다르다는 2011년 일자리를 찾아 이 마을로 홀로 이사를 왔고, 2012년 사건 이후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는 학교에서 수학, 영어, 버마어, 과학, 역사·지리 총 5과목을 고학년에게 가르치며 생활한다. 공동체가 아이들을 위해 설립한 학교는 선생님들에게 월급을 주지 못한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은 5∼6km 떨어진 테트칼핀 마을에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닌다. 이 학교도 로힝야족이 세웠다. 알롬바하르(50)는 남편과 함께 마을에 산다. 두 자녀는 병에 걸려 죽고, 7살 손자는 어릴 때 화상을 입어 고환이 부은 채 생활하고 있다. 테트칼핀 마을 진료소 의사는 제대로 치료받으려면 큰 병원에 가야 한다고 했지만 그들에겐 이동의 자유가 없다. 60살 여성 노르바르는 두 달 전 갑자기 오른쪽 눈이 실명됐다. 병원은 그들에게 머나먼 꿈과 같다.
로힝야족 아이가 도로 포장을 위해 공사장으로 가고 있다. 카틴픽핀차이 마을 앞, 왕복 2차선 도로 포장에 로힝야족이 동원되고 있다. 라킨주 공무원 1명이 현장 감독을 하고 무장 경찰 3명이 옆을 지키고 있다. 아이들은 교육제도 밖에 방치돼 값싼 노동력으로 이용되고 있다.
로힝야족 여성이 마을의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긷고 있다. 대부분의 로힝야 마을에는 상하수도 시설이 없다.
노르 아샤(50)는 갑작스레 두 눈이 멀었다. 약 5km 떨어진 테트칼핀 마을의 진료소에 갔지만 제대로 치료받을 수 없었다. 시내의 큰 병원에는 통행 제한 때문에 갈 수 없다.
로힝야족 아이가 마을 근처 물 웅덩이에서 수영을 하고 있다. 열악한 환경에선 놀거리를 찾을 수 없고 아이들 교육도 보장해주지 못한다.
카틴픽핀차이 마을 어귀. 마을 앞 왕복 2차선 도로는 공사 중인데 그 앞을 군인들이 지키고 있다. 우호적으로 보이지만, 그들은 로힝야족 통행 제한 임무를 맡고 있다.
*조진섭은 프랑스 파리 사진학교 ‘이카르 포토’를 졸업했고 프리랜서 포토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프랑스 칼레의 아프리카 난민, 발칸반도의 아랍 난민, 독일 정착 시리아 난민 등을 취재했다.
2016년 12월24일 미얀마 양곤에 도착하여 라킨 주정부 사무실을 방문했지만 주정부는 취재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로힝야족을 공식적으로 취재하려던 계획은 무산됐지만, 관광비자를 받아 12월29~30일 로힝야족 마을에 들어갔다. 30일 저녁, 마을 주변을 지키는 무장 경찰들은 취재비자를 발급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자를 쫓아냈다.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