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혁당 사건 희생자들의 묘소가 있는 경북 칠곡군 낙산리 현대공원 12일 오후. 칠곡/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는 지난 9월9일 인혁당 사건에 대해 “대법원 판결이 두 가지로 나오지 않았나. 그 부분에 대해서도 앞으로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발언해 여론이 악화되자, 13일에는 “인혁당 유가족이 동의하면 뵙겠다”고 말했다. 인혁당 사건 당시(1975년) 사실상 퍼스트레이디 노릇을 했던 박 후보의 인혁당 사건 관련 발언은 영화 <밀양>의 유괴범의 발언을 떠올리게 한다.
인혁당 사건 유가족들은 이유도 모른 채 사랑하는 아버지, 남편, 아들을 잃고 ‘빨갱이 가족’이라는 손가락질을 받으며 30년 넘게 숨죽여 지내야 했다. 피해자인 고 송상진의 부인 김진생(84)씨는 지난 9월13일 인혁당 사건 피해자 4명의 묘소가 있는 경북 칠곡군 현대공원에서 박 후보의 발언에 대해 “지 애비가 책임을 져야지 왜 역사에 맞깁니까?” “만나면 뭐합니까? 죽은 사람이 살아서 돌아옵니까?”라고 되물었다. 칠곡=사진·글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