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지 200여 마리가 먹이를 찾는 소리로 시끄러워야 할 축사를 매서운 겨울 칼바람 소리가 채운다. 12월25일, 빈 땅을 고르던 곽근원(47)씨는 “빈 축사를 보고 있으면 한숨만 난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곽씨는 육우 사육농이다. 국내산 홀스타인 수송아지를 사와 식육용으로 키워 판다. 2008년 10월, 1억5천만원을 들여 경기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에 1400여㎡ 넓이의 소 축사를 새로 지었지만 곽씨는 송아지 사오는 것을 포기했다. 사료값은 두 배로 올랐는데 육우값은 사육비 아래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소 한 마리를 팔면 돈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100만원씩 적자가 쌓인다. 젖소 송아지 가격이 3만원대로 떨어진 이유다.
“육우는 사람이 먹기 위해 키운 ‘전문 고기소’입니다. 한우에 비해 맛이 떨어질 수는 있겠지만 저렴한 가격에 질 좋은 고기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냉동돼 들어오는 수입소보다 훨씬 낫지 않겠습니까?” 경기침체와 수입 쇠고기, 한우의 삼각 파도 속에서 소 없는 ‘소의 해’를 맞은 육우 사육농 곽씨의 목소리에 간절한 바람이 묻어났다.
안성=사진·글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차라리 없‘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