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위험없이도 안정적 수익

375
등록 : 2001-09-05 00:00 수정 :

크게 작게

반도체가 ‘전자산업의 쌀’이라면 DT는 ‘전자산업의 꽃’이다. 반도체가 모든 전자제품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핵심부품이라면 DT는 디지털 기술과 인간을 이어주는 ‘창’(窓)인 셈이다.

차세대 영상장치로 불리는 제품으로는 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EL 등이 대표적이다.

TFT-LCD는 전력소모량이 적고, 얇고 가벼워 노트북 PC와 모니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에 활용가치가 높다. 다만 시야각이 좁고 40인치 이상 대화면을 구현하기 어려운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TFT-LCD의 한계를 극복한 제품이 PDP. 40인치에서부터 최대 70인치까지 구현할 수 있는데다 두께가 10cm 안팎에 불과해 대화면 TV에 적합한 대표적인 영상장치다. 선명도가 뛰어나고 발광효율이 높아 시야각 제한이 거의 없으며 간단한 구조와 평균수명이 5만 시간 이상으로 길다는 장점이 있다.

유기EL은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데다 전력사용량이 LCD보다 훨씬 적어 PDA나 IMT-2000기술이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합한 제품이다. 특히 대용량의 동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발광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돼 백라이트가 필요없어 얇고 가볍다. 소니가 2003년까지 20∼30인치 TV용으로 실용화할 계획을 갖추고 있을 정도로 가능성이 큰 제품이다.

디스플레이 분야가 한국의 대안산업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이처럼 제품 크기와 용도에 따라 각기 독자적인 시장영역을 형성, 안정된 매출와 이익구조를 안겨줄 수 있기 때문이다. 천문학적 투자비에다 리스크가 크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와 대비되는 대목이다. 반도체 웨이퍼 가공라인을 짓는 데 소요되는 금액만 해도 무려 20억달러에 이른다는 점이 단적인 예다. 특히 올해처럼 반도체가격 사이클 주기의 저점통과기간이 장기화할 경우 수출 부진과 이에 따른 외환보유고 감소, 국내 경기 전반의 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 이른바 ‘반도체 착시현상’의 부작용이다. 반도체 경기에 따라 나라 경제 전체가 부침하는 취약한 경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디스플레이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게 산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