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가게 땅값 올랐다고 웃지 마세요

603
등록 : 2006-03-30 00:00 수정 :

크게 작게

건물주가 가게 주인인 경우 자산은 늘어났지만 이익은 줄어든 셈… 늘어난 임대료를 챙긴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기회비용을 계산하라

▣ 이원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timelast@seri.org

이주의 용어

회계적 비용 accounting cost

경제적 비용 economic cost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변두리 구멍가게에 놀라운 소식이 날아들었다. 몇 달 뒤면 동네에 거대 공공기관이 들어설 것이라는 소문이다. 건물 주인이자 가게 경영자인 사장님은 혹시나 해서 동네 부동산으로 뛰어갔다. 역시나 땅값과 건물값이 이미 두 배로 뛰어올라 있었다.

가게 매출은 소문 이전이나 이후나 마찬가지였지만, 사장님은 입을 다물 줄 몰랐다. 자산이 두 배로 늘어났으니, 가게 매출이야 이전과 같았지만 돈을 더 버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

무언가를 하지 않아서 생기는 비용

여기서 퀴즈 하나. 지금 그 구멍가게는 땅값과 건물값이 오르기 전과 견줘 이익을 더 많이 올리고 있을까, 아니면 더 적게 올리고 있을까? 회계장부상으로가 아니라, 경제적으로 따진다면 말이다.

정답을 먼저 밝힌다. 그 가게의 이익은 줄어들었다. 장부상 이익이야 같지만, 실제로 가게 주인이 얻는 경제적 이익이 줄어들었다는 이야기다. 이익은 매출 빼기 비용이다. 이 가게의 매출과 회계적 비용(accounting cost)은 전과 같지만,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이 늘어나면서 경제적 비용(economic cost)이 커졌기 때문에 이익이 준 것이다. 자산은 늘었지만 경제적 이익은 줄었으니, 사장님의 입은 조금 덜 벌리시는 게 합리적일 듯하다.

가게의 건물값과 땅값이 올랐다면 가게가 내는 이익은 줄어든다. 임대료가 늘어난 만큼의 기회비용이 생겼기 때문이다.(사진/한겨레 김태형 기자)

회계적 비용은 말 그대로 회계장부에 기록되는 비용이다. 임대료, 임금, 세금 등의 비용이 모두 회계적 비용에 포함된다. 경제적 비용이란, 장부상 비용뿐 아니라, 장부에는 기록되지 않지만 실제로 따져보면 알게 모르게 지불되는 기회비용을 포함한 비용이다.

그런데 이 기회비용이라는 게 아주 재미있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비용은 우리가 무언가 경제행위를 하면서 생긴다. 그러나 기회비용은, 무언가를 하지 않음으로써 생긴다. 무언가를 했으면 이익을 낼 수 있었는데, 그것을 하지 않음으로써 잃어버린 이익을 거꾸로 비용으로 계산한 게 기회비용이다. 자원을 최대로 이용했을 때 낼 수 있는 이익을 내지 못한 것을 계산한 것이다.

구멍가게 사장님의 예로 돌아가보자. 땅값과 건물값이 두 배로 올랐으니 잠재적 임대료도 두 배로 올랐다고 가정한다면, 구멍가게의 경제적 임대료는 두 배로 오른 것이다. 물론 구멍가게 사장이 건물 주인이니, 회계상 임대료는 한 푼도 내지 않지만, 기회비용을 따져 경제적 비용을 계산하면 그렇다는 것이다. 그 자리에서 구멍가게를 하지 않고 남에게 임대해줬을 때 최대로 챙길 수 있는 임대료가 그 구멍가게의 경제적 비용이다.

기회비용의 개념을 모르는 것은 사실 동네 구멍가게 주인 아저씨만이 아니다. 미국 중북부의 명문 노스웨스턴대학의 똑똑한 교수들도 기회비용의 개념을 몰라 한바탕 곤욕을 치른 일이 있다.

1970년대 중반이었다. 노스웨스턴대학은 오랫동안 대도시 시카고 중심가에 있던 법과대학 건물을 헐고 신축하기로 결정한다. 그런데 대학 본 캠퍼스는 교외의 소도시에 있었다.

여기서 논쟁이 벌어진다. 몇몇 교수들이 기왕 건물을 신축하는 것, 아예 본 캠퍼스로 옮겨 다른 학과들과 가까이 있도록 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대다수 교수들은 여기에 반대했다. 비용 문제였다. 대학은 시카고 중심가의 현재 법과대학이 있는 자리에는 부지를 소유하고 있었지만, 본 캠퍼스에는 마땅한 부지가 없어 이사하려면 새로 구입해야 하는 처지였다. 그러니 신규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법대를 본 캠퍼스로 옮기지 말고 그냥 갖고 있는 땅에다 짓자는 게 대다수 교수들의 주장이었다.

교수들 역시 경제적 비용은 회계적 비용과 다르다는 걸 몰랐던 것이다. 당장 현금이 지출되지 않는다고 비용이 없는 게 아니다.

노스웨스턴 대학의 실수

대도시인 시카고 중심가의 부지는 금싸라기 같은 비싼 땅이었다. 백화점이나 사무실을 지으면 높은 매상을 올리거나 비싼 임대료를 받을 수 있는 자리였다. 그 땅을 팔거나 임대하면 엄청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반면 본 캠퍼스가 있는 소도시의 땅은 헐값이었다. 현재 법대 위치에 새 건물을 짓는다면, 부지 구입을 위한 회계적 비용은 당장 들지 않겠지만, 기회비용이 엄청나게 큰 탓에 경제적 비용이 꽤 크다.

교수들은 그걸 몰랐고, 결국 노스웨스턴대학은 법대를 시카고 중심가에 다시 지었다. 좀 더 아껴쓸 수 있었던 학생들의 등록금과 동문들의 기부금이 낭비된 것이다. ‘비용’에 대한 경제학적 개념이 없었던 탓이다.

사실 우리 모두에게, 기회비용은 매 순간 발생한다. 모든 사람에게는 시간의 기회비용이라는 것이 있다. 지금 보내고 있는 시간을 이용해 최대로 벌어들일 수 있는 수입만큼이 시간의 기회비용이다.

지금 당신이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데 보내고 있는 1시간을, 최대의 수입을 올릴 수 있는 다른 곳에 사용한다면 얼마를 벌 수 있는가? 그 액수가 바로 1시간 동안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데 드는 기회비용이고 경제적 비용이다. 세상에, 소파에 누워 텔레비전을 보는 데도 사실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을 읽는 5분 동안, 당신은 얼마어치의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셨는가?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