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정상혈압도 조심하라

489
등록 : 2003-12-17 00:00 수정 :

크게 작게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밤이 길다. 이때 건강을 챙기려면 추위와 건조함, 햇빛 부족에 대처하는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우리 몸은 차가운 온도에 놓이면 ‘수축 반응’을 보이게 된다. 근육도 수축하고 혈관도 수축한다. 근육과 혈관이 수축하면 혈압이 올라가게 마련이다. 요즘 뇌혈관 질환과 심혈관 질환은 우리나라에서 사망 원인 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사망률이 다른 계절보다 10~25%나 증가한다. 실내 온도가 1도 내려갈 때마다 수축기 혈압이 약 1.3mmHg 정도 올라가고 확장기 혈압도 0.6mmHg 정도 올라간다. 그러니까 실내 온도가 10도 내려가면 혈압은 13mmHg나 올라가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에 혈압이 여름보다 약 10mmHg 정도 높아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일러스트레이션 | 방기황
우리는 혈압에 대해서 보통 ‘120에서 80’ 하는 식으로 두 가지의 수치를 이야기한다. 높은 수치는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콱 짜낼 때의 혈압이고, 낮은 수치는 반대로 심장이 확장되면서 혈액이 심장으로 모여들 때의 혈압이다. 혈압은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위험하다. 가장 이상적인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 이하이고 확장기 혈압이 80 이하여야 한다.

만일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 이상이면 고혈압 진단을 받는다. 정상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30 이하, 확장기 혈압이 85 이하여야 한다. 그리고 수축기 혈압이 130~140이고 확장기 혈압이 85~90일 때 ‘정상은 정상인데 좀 높다’고 해서 ‘높은 정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래서 여태까지는 혈압이 수축기 139, 확장기 89인 사람도 자신은 아직 정상 혈압이라고 안심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높은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은 ‘이상적 혈압’을 가진 사람에 비해 뇌혈관 질환이나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이 2배나 높다고 한다. 정상혈압도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걸맞게 정상혈압의 기준도 종전보다 10 정도를 낮춰야 한다. 그리고 최근 전문가들의 주장은 ‘나이가 20대이든 60대 이상이든 수축기 혈압은 120 이하, 확장기 혈압은 80 이하여야만 안심할 수 있는 진짜 정상이다’는 것이다.

“나이가 들었으니 혈압도 좀 높은 게 정상이다”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겨울철에 고혈압을 피하려면 술과 담배 그리고 스트레스를 줄이고 짠 음식이나 동물성 지방을 섭취하지 않는 게 좋다. 또한 미지근한 물에서 목욕하고, 따뜻하게 입고 외출하며,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세일 | 포천중문의대 대체의학대학원 원장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