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저는 백일장에서 상을 받기도 하여 글을 잘 쓴다고 자부하였습니다. 그러나 논술글에서 나름대로 논리를 정교하게 정리하였다고 생각했는데, 비약이 심하다는 소리를 들어 충격을 받았습니다.
비약은 ‘순서를 밟지 않고 나아간다’는 말입니다. 논술글에서 필자가 무슨 말인지 모를 이야기를 하면 독자는 왜 갑자기 필자가 이런 말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지요. 즉, 비약은 독자가 보기에 필자가 갑자기 뜬금없는 소리를 한다는 뜻이지요. 논술글에서 비약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드러납니다.
첫째는 한 단락에서 문장과 문장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할 때입니다. 예를 들어 첫 문장에서 ‘원숭이 엉덩이는 빨갛다’고 하고, 그 다음 문장에서 ‘기차는 길다’고 서술합니다. 이때 상대방은 원숭이 엉덩이가 빨간 것과 기차 긴 것이 무슨 상관이 있냐고 묻습니다. 그러므로 그 다음부터 필자는 그 두 문장을 이어줄 내용을 덧보태야 합니다. 그러므로 ‘빨간 것이 사과이고, 사과는 맛있으며, 맛있으면 바나나며, 그 바나나는 길고, 기차는 길다’로 이어진다는 것을 필자가 보완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때 어느 한 문장이라도 빠지면 그 부분이 비약되는 것이지요.
이것은 한 단락에서 말하고자 하는 중심생각(소주제)이 넓어 애초 자기가 덧보태기로 예상했던 문장 수보다 많아질 때 필자가 원고량에 맞추어 그 중 어느 한 문장을 생략하기 때문에 비약이 생깁니다. 또 그 두개를 꼭 이어주지 않아도 상대방이 알 것이라고 생각하여 필자가 두 문장 잇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 비약이 생깁니다. 따라서 필자는 어느 한 단락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좁혀야 하며, 좀더 자기 생각을 자상하게 보완하겠다고 마음먹어야 비약하지 않습니다.
둘째는 결론에서 비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체벌을 폐지하자는 근거를 본론에 늘어놓고는, 결론에 와서 갑자기 한국의 위상을 국제 사회에서 높일 수 있다거나 인간 소외가 심해졌다는 내용을 끼워넣습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이 일기를 쓸 때, 그날 낮의 일을 자세히 쓰고 글 끝에서 ‘엄마 말을 잘 듣기로 결심했다’로 마무리하려면 그렇게 결심하게 된 근거를 서술했어야 합니다. 읽는 이가 그 일기를 읽고 ‘왜 그런 결심을 하게 되었지?’ 하고 묻는 것은 그 초등학생이 그런 각오를 하게 된 과정(근거)을 서술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결론에서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거나 인간 소외가 심해졌다고 하려면 그렇게 주장하게 된 근거를 본론에서 언급했어야 합니다.
결국 결론 부분에서 비약하는 것은 더 이상 할 말이 없으나 원고지를 일정량 채워야 하니까 도덕적 각오나 애국적 권고로 글을 마무리하면서 생긴 것입니다. 그러므로 결론에서 비약하지 않으려면 글 끝을 마무리할 때 본론에 서술한 근거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하며, 멋있게 마무리하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논술 고사는 이성으로 상대방을 설득하는 논리 시험이지, 감성을 솔직하게 드러내 상대방과 교감하는 문예글이 아닙니다.
결국 결론 부분에서 비약하는 것은 더 이상 할 말이 없으나 원고지를 일정량 채워야 하니까 도덕적 각오나 애국적 권고로 글을 마무리하면서 생긴 것입니다. 그러므로 결론에서 비약하지 않으려면 글 끝을 마무리할 때 본론에 서술한 근거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하며, 멋있게 마무리하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논술 고사는 이성으로 상대방을 설득하는 논리 시험이지, 감성을 솔직하게 드러내 상대방과 교감하는 문예글이 아닙니다.

한효석 | 한겨레 문화센터 논술강사
|
▷▷논술 형식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한겨레21> 예컨대 Q&A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질문을 하실 때 이름과 학교도 함께 적어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