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시골서정

443
등록 : 2003-01-15 00:00 수정 :

크게 작게

일러스트레이션/ 경연미
하루 종일 쉼 없이 내린 눈발은 오랜만에 여유로운 감성을 돋워올린다.

아침 눈발에 놀라 차를 두고 온 덕에 맘은 더욱 느긋해지고 군내버스 타고 갈 일이 설레기까지 한다.

하늘 향해 얼굴 내미니 싸락눈이 사정없이 목덜미를 파고들어 고개를 땅 닿게 숙이고 만다. 차는 이미 거북이, 난 토끼가 되어 뜀박질을 해봤지만 거북이의 승리다.

길용리, 향하도 같은 먼길은 이미 교통두절이고 덕분에 토요일 저녁 읍내는 느리고 한적하다.

버스정류장이 돼버린 서점에서 권인숙의 <선택>이며, 홍세화의 <악역을…>을 한동안 빼어들다가 <한강>(10권)으로 마침표를 찍고 가슴 따뜻한 음악에 취해 서점을 나온다.

눈발은 더 거세지고 이 눈에 차가 오려나 싶었는데 기우였다. 눈오는 겨울밤이면 으레 빼먹는 버스로 인해 툴툴거리며 택시를 타야 하는 억울한 기억이 남아 있는 터였는데 오늘은 기분 좋게 배차시간을 맞춘다.

눈사람이 되어 차에 올라서니 내가 첫 손님이다. 구 터미널에선 한명도 못 태웠나 보다. 예닐곱명 겨우 싣고 간신히 반질거리는 고갯길을 오른 버스는 내리막길을 자분자분 내려와 눈밭에 나를 내려준다. 오늘 같은 날은 버스값 650원이 정말 적다.


버스는 젖소 키우는 은경언니네 집을 지나치고 보리들판 너른 백수하사리를 지나 염전 어디메쯤에서야 멈추어 설 것이다. 점점이 마을 어귀에 내려준 사람들은 메주 띄우는 자기 집들로 종종걸음칠 것이고…. 아무도 밟지 않은 눈밭에 발자국 찍으며 동네 개들을 죄다 깨운다. 가로등이 휘황히 비추는 마을회관 앞은 눈부신 조명발이다. 그곳에 발자국으로 하트를 찍어놓는다. 사랑이 넘치는 한해를 빌면서 말이다.

동네 안길 아래뜰 아제네집 앞은 발목까지 눈이 차오른다. 역시 미정이 아빠는 부지런하다. 금방 눈을 치웠는지 싸리비 자국이 뚜렷하다. 여전히 눈은 흩뿌리고 군데군데 별은 총총하다.

집주인도 못 알아보는 우리집 큰개는 사납게 짖어대고 야인시대 조연의 이름을 따 둘째놈이 지은 ‘번개’는 애교스러운 몸짓으로 분주하다. 오늘 하루 고구마 쪄내고 동치미 국물 내온 죽림댁이 화투판에서 500원이나 따갔다며 잔돈푼 만지는 어머니의 손끝도 느려져 있다.

“농사꾼은 이때가 질 좋은겨. 출근걱정이 있나 식량걱정이 있나 이때만치 농사꾼 부러울 때가 없을 거이다. 그나저나 서울 아그덜이 걱정인디.” 일찌감치 이불 밑에 자리잡은 어머니는 괜한 걱정을 보태는 눈치다.

시골마을엔 어려운 살림살이를 덮어볼 요량으로 수북수북 눈이 쌓인다. 환히 불 밝힌 수일이 아저씨네 딸기 하우스가 걱정스러워도 푸근한 밤이다.

이태옥 ㅣ 영광 여성의전화 사무국장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

영광댁 사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