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성형수술이 선택인 때가 되려면 이런 사회에서 그는 여성이 하는 성형수술이 자유로운 선택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여성이 미용 성형수술을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 되려면, 여성이 수술하지 않아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고,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공동체에서 자리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돼야 한다. “자기 분야에 여성이 이끄는 교수진이 있고 몇 세대에 걸쳐 여성 거물과 벼락부자들에게 기부를 받아 넘칠 정도로 풍부한 교수진이 자신에게 문호를 개방할 때, 여성이 이끄는 다국적기업들이 젊은 여자대학 졸업자들의 재능을 강력히 요구할 때, 고전 학문의 5천 년 역사를 빛낸 여성 영웅들의 청동 흉상이 있는 다른 대학이 있을 때” 여성에게 선택권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성들의 사회에 진출한 여성을 향해 사회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유지하라고 요구한다. 이는 조앤 리비에르가 말한 ‘가면으로서 여성성’과도 연결된다. 리비에르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성일수록 사람들, 특히 남성 앞에서 자신의 여성성을 과장되게 드러낸다고 말한다. 자신이 위협적이지 않은 여성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간단한 도구도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귀여운 여자’를 연기한다는 것이다. 여자는 어딘지 모르게 허점이 있어야 한다거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를 모두 갖춘 여성은 인기가 없다는 이야기도 ‘귀여운 여자’론의 일종이다. 모성·순결… 여성을 무력화하는 것들 경제적·법적 평등이 강화되는 동시에 모성과 가정, 순결, 아름다움에 대한 신화가 강제돼 여성들을 무력화한다는 울프의 이 책은 많은 페미니스트의 지지를 받았다. 울프가 지적하는 강요된 선택은 문화적이고 이데올로기적 문제뿐 아니라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문제와 얽혀 있다. 아름다움이 자본으로 환원되는 구조는 이 책이 나온 지 약 30년이 된 지금도 여전히 강력하다. ‘무엇이 아름다움을 강요하는가?’ ‘여성에게 자유로운 선택과 기회 평등이 보장되는가?’ 울프가 지금 여기를 사는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허윤 문학연구자
여성 성형수술이 선택인 때가 되려면 이런 사회에서 그는 여성이 하는 성형수술이 자유로운 선택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여성이 미용 성형수술을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 되려면, 여성이 수술하지 않아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고,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공동체에서 자리를 지킬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성립돼야 한다. “자기 분야에 여성이 이끄는 교수진이 있고 몇 세대에 걸쳐 여성 거물과 벼락부자들에게 기부를 받아 넘칠 정도로 풍부한 교수진이 자신에게 문호를 개방할 때, 여성이 이끄는 다국적기업들이 젊은 여자대학 졸업자들의 재능을 강력히 요구할 때, 고전 학문의 5천 년 역사를 빛낸 여성 영웅들의 청동 흉상이 있는 다른 대학이 있을 때” 여성에게 선택권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남성들의 사회에 진출한 여성을 향해 사회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유지하라고 요구한다. 이는 조앤 리비에르가 말한 ‘가면으로서 여성성’과도 연결된다. 리비에르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성일수록 사람들, 특히 남성 앞에서 자신의 여성성을 과장되게 드러낸다고 말한다. 자신이 위협적이지 않은 여성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간단한 도구도 제대로 다루지 못하는 ‘귀여운 여자’를 연기한다는 것이다. 여자는 어딘지 모르게 허점이 있어야 한다거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를 모두 갖춘 여성은 인기가 없다는 이야기도 ‘귀여운 여자’론의 일종이다. 모성·순결… 여성을 무력화하는 것들 경제적·법적 평등이 강화되는 동시에 모성과 가정, 순결, 아름다움에 대한 신화가 강제돼 여성들을 무력화한다는 울프의 이 책은 많은 페미니스트의 지지를 받았다. 울프가 지적하는 강요된 선택은 문화적이고 이데올로기적 문제뿐 아니라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문제와 얽혀 있다. 아름다움이 자본으로 환원되는 구조는 이 책이 나온 지 약 30년이 된 지금도 여전히 강력하다. ‘무엇이 아름다움을 강요하는가?’ ‘여성에게 자유로운 선택과 기회 평등이 보장되는가?’ 울프가 지금 여기를 사는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허윤 문학연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