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레이션 조승연
누가 청소를 할까, 빨래는 누가 할까 미미의 블로그를 보다보면 동화 속 문장이 들린다. “오래오래 행복했습니다.” 그게 부러워서 계속 본다. 결혼도 육아도 할 생각이 없는 모나 숄레도 이렇게 고백했다. “내가 부러운 것은 그녀가 자신의 꿈에 순응하며 산다는 사실이다. 물결을 거스르는 것은 피곤한 일이다. 세상이 정해놓은 표준에 자신을 맞추는 것, 자신의 존재와 자신이 하는 행위가 수세기 동안 전해져 내려온 문화에 의해 인정받음을 느끼는 것. 이 모든 것들은 따뜻한 목욕물 속에 몸을 담그는 것처럼 기분 좋은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잊고 있는 것은 이런 ‘선택들’이 각자의 조건에 좌지우지되며, 어떤 선택들은 또 다른 것들보다 받아들이기가 훨씬 쉽다는 사실이다.”(<지금 살고 싶은 집에서 살고 있나요?>) 이 큰 집은 누가 청소할까? 빨래는 누가 할까? 미미의 블로그에는 노동이 없다. 애가 넷인데 얼굴에 땟국물이 안 흐른다. 미미의 갈색 머리는 항상 찰랑거린다. 애 하나 키우는 내 친구는 드레스를 차려입기는커녕 똥도 문 열고 눴다. 25년 된 아파트로 처음 이사 온 날, 나도 살림을 제대로 해보겠다 다짐했다. 이케아에서 산 물건을 수시로 바꾸는 바람에 직원이 얼굴을 알아봤다. 전구가 줄줄이 연결된 조명도 사 창가에 걸었다. 1년이 지난 지금, 그 조명 때문에 집이 성황당 같다. 인테리어의 핵심은 청소고 청소는 고된 노동이다. 내 입 하나 챙기면 되는데도 삼시 세끼 챙기기가 고역이다. 내 양말 두 짝도 맞추기 어렵다. 미미의 진짜 삶에 대해 내가 뭘 알겠나. 그런데도 오래 들어온 정답 같아 맞다, 맞다 한다. 미래가 불안할수록, 남들이 좋다는 길로 가고 싶어진다. 일단 안전하고 볼 일이다. 이게 내 욕망인지도 헷갈린다. “늙어서 어떻게 할래.” “애를 낳아보지 않으면 어른이 안 된다.” 이런 말을 듣다보니 이게 내 목소리인지 남의 목소리인지도 모르겠다. 10여 년을 함께 산 남편이 돌아서자 올가는 무너졌다. 엘레나 페란테가 쓴 <홀로 서기>는 그 내면 보고서다. 올가가 맞서야 하는 대상은 다른 여자와 사랑에 빠져 양육비도 내놓지 않는 남편만이 아니다. 올가의 머릿속에 똬리를 틀고 있는 한 이미지다. 어린 시절 옆집에 살던 여자에 대한 기억이다. 팔뚝이 실하고 호탕하게 웃던 그 이웃 여자는 남편이 떠난 뒤 말라가다 자살했다. 올가는 자기 머릿속에 맴도는 불행의 주문을 몰아내야 한다. “내 앞에 도마뱀이 나타난다면 도마뱀과 싸울 것이다. 개미 떼가 나타난다면 개미 떼와 싸울 것이다. 내 집에 도둑이 든다면 그 도둑과도 싸울 것이고, 내 앞을 내가 가로막고 있다면 나 자신과도 싸울 것이다.” 서양화가이자 페미니스트, 35살에 이혼하고 홀로 숨진 나혜석 앞에는 ‘비운’이라는 낱말이 얼마나 자주 붙나. 그런데 정희진은 “나는 나혜석의 삶이 행복했다고 본다”며 “그녀 자신도 그렇게 평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썼다.(<페미니즘의 도전>) 나혜석의 삶은 행복했다 통제할 수 없는 걸 통제할 수 있다고 믿어 불안하다. 확실한 건 자신에게 불행을 암시하면 더 불행해질 거란 점이다. 행복 인증 마크를 따야 할 것 같은 압박 때문에 더 불행하다. 나는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가? 내 삶에 의미는 있나? 이런 질문에는 어차피 홀로 답해야 한다. “고독, 회한, 실패에 대한 두려움, 불안,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등은 싱글들의 삶에 고유한 것들인가? 아니면 삶 자체에 고유한 정서인가?”(<지금 살고 싶은 집에서 살고 있나요?>) 김소민 자유기고가
<한겨레21>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한겨레21>이 기존 구독제를 넘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한겨레21>은 1994년 창간 이래 25년 동안 성역 없는 이슈 파이팅, 독보적인 심층 보도로 퀄리티 저널리즘의 역사를 쌓아왔습니다. 현실이 아니라 진실에 영합하는 언론이 존속하기 위해서는 투명하면서 정의롭고 독립적인 수익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한겨레21>의 가치를 아는 여러분의 조건 없는 직접 후원입니다. 정의와 진실을 지지하는 방법, <한겨레21>의 미래에 투자해주세요.
*아래 '후원 하기' 링크를 누르시면 후원 방법과 절차를 알 수 있습니다.
후원 하기 ▶ http://naver.me/xKGU4rkW
문의 한겨레 출판마케팅부 02-710-0543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