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자라니, 좀 취한 채로 돌아다닌 것뿐인데. 달에 한눈이 팔려 사소한 접촉 사고를 냈을 뿐인데. 하필 그가 들이받은 차가 경찰차였을 뿐인데. 눈물을 글썽이는 가족과 지인들에 둘러싸인 힐다는 어떤 항변도 못했다. 이런 나를 알코올중독이라 하다니, “이거 매우 흥미로운 관점인데”라는 말밖에는. 힐다는 한낮에 술을 마신 적도 없고, 혼자 술을 마신 적도 없다. 두 딸을 훌륭하게 키웠다. 술 때문에 자기 삶을 통제하지 못한 적이 없었다. 억울했다. 동네에는 힐다보다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이 수두룩했다. 그런데도 알코올중독자라는 낙인이 힐다에게만 찍혀서, 그가 와인잔을 잡기만 해도 모두 화들짝 놀라며 잔을 뺏어가려고 덤볐다. 힐다는 숨길 게 많다. 불행의 흔적을, 우울의 기미를, 고독의 그림자를, 지독한 술 냄새를, 잘나가는 부동산 중개인이지만 은행에 집을 빼앗길 자신의 처지를 집 안에 남겨둘 순 없는 노릇이니까. 누구라도 그의 집을 한번 둘러봐서는 절대 알 수 없도록 철저히 숨겨야 했다. 그는 컴컴한 지하실에 와인 한 상자를 숨겨두고 아무도 모르게 꺼내 먹었다. 큰 계약을 따냈거나 유난히 외로운 날이면 아예 지하실에 처박혀 마셨다. 스스로 축하하고 위로했다. 자기 자신조차 지하실에 숨겨버린 줄도 몰랐다. 이젠 “더, 더”라고 외칠 수 없다 “무엇보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술을 마시던 때가 그리워요. 그 순간에는 그들을 더욱 사랑하게 되거든요.” 힐다는 항상 “더, 더”라고 외치는 사람들을 좋아했다. 술을 떳떳하게 마시지 못하니 애주가를 보면 기분이 좋았다. 노래 한 곡을 다 부르고 나서 더 부르자고 외치는 사람, 그런 사람이 세상에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때마다 행복했다. 그것이 힐다가 가진 가장 신통한 능력이었다. 자신과 같은 부류의 사람을 알아보는 눈. 그는 구두 없이 자란 구두수선공의 자식을, 텅 빈 냉장고를 기웃거리며 자란 슈퍼마켓 주인의 딸을 알아본다. 자신의 결핍을 잊을 수 없고, 슬프게도 그런 자신을 수치스러워하며 살면서 “더, 더”라고 외치는 사람들을 알아본다. 하지만 이제 힐다는 사람들 앞에서 “더, 더”라고 외칠 수 없다. 혼자 마실 때도 너무 많이 마신 건 아닌지 자신을 의심한다. 누군가를 더욱 사랑하기엔 글렀을지도 모르겠다. 힐다의 능력은 사람을 사랑하는 데 유용했지만 돌아오는 사랑은 미미했다. 적어도 그가 느끼기엔 그랬다. 왜냐면 그에게 절대로 없는 능력이 하나 있기 때문이다.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눈치채는 능력 말이다. 정신을 잃은 채 지하실에 누운 그를 깨우는 딸의 마음, 창밖에 시선을 빼앗긴 채 밤거리를 돌아다니는 그를 지켜보는 친구의 마음, 술 냄새를 풍기며 고객 앞에 마주 앉은 그를 걱정하는 동료의 마음을 짐작하는 능력이 힐다에겐 없었다. 응시 없이 이뤄지는 직시는 없다. 그가 자신을 오래 바라보았더라면, 슬쩍 쳐다보기만 했더라도 달랐으리라. 하지만 나는 그의 능력을 믿는다. 그러니 밝고 행복한 운명이 힐다를 기다리고 있다는 말을 스스로에게 해줄 수 있는 날이 곧 올 거다. 분명 온다. 황현진 소설가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