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개표 조작 의혹을 다룬 영화 <더 플랜>의 한 장면. 네이버 무비
제18대 대선 결과에 대한 <더 플랜>의 주장은 하나의 가설입니다. 현재 김 총수와 <더 플랜> 제작진은 반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는 과학적 통계에 아둔한 사람인지라, <더 플랜>이 주장하는 대선 개표 조작 의혹에 대해선 확고한 의사를 밝힐 수 없습니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통한 개표 조작이 가능하니, 반드시 선진국처럼 ‘수개표’를 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해 편성을 단행했습니다. 모의실험을 통해 그 가능성을 생생하게 보여준 시퀀스는 많은 시청자에게 큰 충격을 줬습니다. 저는 일전에 인터넷 언론 <뉴스타파>가 <더 플랜>에 대한 반론 프로그램을 내보냈을 때, 오히려 고맙다고 했습니다. 민주공화국의 근간인 공명선거 관련 의혹 제기를 검증해본다는 것은 저널리즘의 당연한 역할이기 때문이지요. <더 플랜>의 가설은 공론의 장에서 거듭 검증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칼럼은 2005년 황우석 사건을 소환해내 현재의 김 총수를 음모론자로 덧씌운 것입니다. 김 총수가 <더 플랜>을 제작했다는 이유로 음모론자로 지적받는 것에 동의할 수 없습니다. 2014년 2월, 서울 종로구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서 김 총수가 저에게 던진 말을 기억합니다. “박근혜 정권이 끝나면 우리 나이 오십이야. 이 정치권력이 이대로 가면 곧 환갑이고. <나는 꼼수다>를 다시 제작할 수 있겠지만, <한겨레>와 하고 싶어. <한겨레>도 나를 이용하라고. 그리고 이번에는 출연료 많이 줘!” 저는 김 총수의 그 말을 ‘<한겨레>가 필요해’로 이해했습니다. <한겨레TV> 역시 ‘김어준’이 필요했습니다. PD 처지에서 부담스러운 것은 김 총수에게 꼬리표처럼 붙어다니는 ‘음모론자’ 이미지였습니다. 그러나 <파파이스>에서 김 총수는 누구보다 치열했고 긴장했습니다. 아이템 회의부터 공개방송 녹화 현장까지 언제나 그 꼬리표와 투쟁했습니다. 그리고 김 총수의 데스크 너머에는 <파파이스> 마이크를 놓고 청와대 출입기자가 된 김보협 기자가 앉아 있었습니다. “총수, 너무 간다. 더 가면 위험해. 제발.” “(웃음) 씨파, 물론 저의 추론입니다.” 이러한 긴장 어린 ‘토크 라인’을 볼 때마다 저는 무척이나 행복했습니다. 공개방송이 끝나면 이틀간의 치열한 후반제작(편집)이 시작됩니다. 이때 김 총수와 김보협 기자로부터 쉴 새 없이 연락이 쏟아집니다. “이 PD, 그거 다시 확인해보니 불확실하다. 꼭 편집해줘.” “총수가 말한 그 부분 확인해보니 위험하다. 다시 협의하고 아니면 ‘삐’ 처리하자.” 수구언론이 미디어 생태계를 장악하고, 공영방송마저 공백이 되었던 박근혜 정권 아래서 <김어준의 파파이스>는 진보언론이 취재한 파편적 사실을 엮어 합리적 ‘서사’와 당당한 ‘질문’을 던지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자부합니다. 긴장 어린 ‘토크 라인’ 끝으로 존경하는 동지의 글을 전합니다. “‘자기객관화’란 내가 나를 얼마나 냉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가에서 비롯된다기보다, 만인에 대한 이해능력에서 파생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타인을 이해해야 타인들이 이해하는 나를 이해할 수 있을 테니까. 따라서 자기객관화가 잘 되어 있는 사람의 특징은 ‘쿨함’보다는 ‘따뜻함’에 더 가까울 것 같다.” 이것이 현재 사태에 대한 저의 잠정적 답변입니다. 이경주 한겨레TV <김어준의 파파이스> PD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