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
제주에 무슨 일이 있는 걸까? 왓은 ‘밭’을 뜻하는 제주말이다. 왓을 따라 사람들이 살았다. 해안길을 따라, 중산간 길을 따라 어디든 왓이 있다. 제주 서쪽에 비옥한 왓이, 동쪽에 척박한 ‘빌레왓’(너럭바위가 있는 돌밭)이 있었다. 왓을 지키기 위해 검은 돌로 쌓은 ‘밭담’은 제주의 마을 풍경을 만들었다. 제주 전역의 밭담을 이어붙이면 용이 구불구불 솟구쳐오르는 모습이 보인다고 해 ‘흑룡만리’라는 말도 있다. 오랜 세월 제주 사람들을 먹이고, 살리는 구실도 왓이 했다. 해녀들이 물질로 먹거리를 가져오던 바다는 아예 ‘바당밭’(바다밭)이라고 불렸다. 왓을 따라 제주 여행을 떠나보자. 아직 그 길이 낯설다면, 여기 <한겨레21>이 건네는 제주 비밀노트가 있다. 제주의 길과 오름, 자연, 문화, 역사, 맛과 재미를 담았다.
어디에 있든 상관없다. 제주랑 손쉽게 친해지는 방법이 있다. 음악을 들어보자. <해녀, 이름을 잇다>는 드물게 해녀들의 삶을 노래한 앨범이다. 미러볼뮤직 제공
거기에 제주를 주목하는 이가 늘어나면서 제주로 향하는 뮤지션도 함께 늘었다. 한국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중추였던 뮤지션 장필순과 조동익이 일찌감치 자리를 잡았고, 재즈피아니스트 임인건도 제주로 이주했다. 포크 싱어송라이터 윤영배도 제주에서 나무하고 불 때고 자전거 타며 산다.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사례는 이효리와 이상순이지만 밴드 허클베리핀과 레게 뮤지션 태히언, 블루스 보컬리스트 강허달림이 제주에서 아침과 밤을 맞기 시작했다는 것을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노래패 꽃다지의 조성일도 제주에서 일하며 노래하는 중이다. 제주와 더 깊게 가까워지는 방법 제주에서 살다보니 이들의 음악에도 제주의 파도소리와 낙조와 오름이 천천히 스며들고 있다. 민요가 그랬듯 노래는 삶을 따라간다. 또한 제주에서 활동했던 강아솔과 사우스카니발을 비롯한 몇몇 뮤지션은 제주 밖에서 사랑받고 있기도 하다. 제주에 오면 제주에 몸담고 마음 기댄 이들의 음악을 들어보자. 그것이 제주와 더 빨리, 그리고 더 깊게 가까워지는 방법일 것이다. 서정민갑 대중음악의견가
이 기사를 포함한 제주에 관한 모든 기사를 만나볼 수 있는 <제주 특별호> 낱권 구매하기!
모바일 낱권 구매 ▶바로가기
인터넷 낱권 구매 ▶바로가기
* 한겨레21 1년 정기구독하기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