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비열한 종의 문명이 막 내린들
유인원 편이 되어,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등록 : 2014-08-16 13:13 수정 : 2014-08-17 07:33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을 보면서 가장 놀랍고 무서웠던 장면은 유인원들이 손을 사용했을 때와, 무리지어 말을 타고 나타났을 때다. 힘의 명확한 열세 속에 쫓기던 유인원들이 마침내 손으로 나무를 꺾고 그것을 무기 삼아 맹수에 맞설 때, 말 몇 마디를 했을 때와는 비교도 안 되는 공포가 느껴졌다. 이제 저들이 정말 세계를 차지할 수도 있겠구나 싶은 순간이었다. 손을 씀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게 됐을 때, 세계는 그들의 발 아래 있게 된다. 유인원이 말을 타고 나타났을 때의 놀라움도 마찬가지다. 다른 종을 휘하에 다스리고 부리게 됐다는 것은 자연 속에서 육식동물이 초식동물을 잡아먹는 것과는 전혀 다른 지배인 것이다. 권력의 탄생이고 문명의 태동이다. 1968년 작 <혹성탈출>의 이전 이야기들 3부작 중 두 번째인 <반격의 서막>은 인간을 완전히 배제한 유인원의 역사 첫 장인 것 같았다.
나는 이 낯선 주인공들에게 곧장 감정이 이입됐다. 영화를 보며 어떤 캐릭터와 나를 동일시하고 응원하게 되는 건 결국 시선, 관점의 문제지만, 악독한 한국계 슈퍼마켓 주인이 주인공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일부 외국 영화들을 보며 한국인인 나는 어느 쪽 시선을 가져야 하는지 불편했던 것에 반해, 인간과 유인원의 갈등에서 나는 아무 미련 없이 유인원 편에 가담했다. 인간의 시대가 이제 끝나버린, 유인원 문명의 시작. 살아서 그런 시대를 설령 본대도 나는 그럼 인간 동물원이나 양인장(養人場)에 갇힌 상태겠지만, 인간이 아닌 다른 종이 만들어낼 문명은 어떤 것일지 흥미로웠다. 힘없는 동료 하나가 결국 숨을 거둘 때까지 수십 일을 때리고 고문할 수 있는 인간이라는 잔혹한 종, 그리고 그런 희생자를 보며 내가 아니라 다행이라고 안도하고 그저 구경만 하는 비열한 종이 만드는 문명이 이제 막을 내린들 무슨 변명과 아쉬움이 있을까. 영화에서 인간과 유인원을 통틀어 가장 신뢰가 가는 리더 시저가 인간이 되어 통치를 한대도 세상은 이미 지옥일 것이다.
그러나 또 한편, 유인원이 만들어낼 세상도 인간의 그것과 별로 다르지 않으리라는 암시도 맘에 들었다. 이제 시저는 알게 될 것이다. 다양한 구성원의 수만큼 상이한 요구와 해석과 욕망이 있다는 것을. ‘유인원은 유인원을 죽이지 않는다’는 대명제와 코바 처단 사이의 모순을, 유인원을 배신한 것은 이미 유인원이 아니라는 궤변으로 해결하면서, 이제 시저는 위대한 철인에서 영리한 리더로 탈바꿈했다. 코바를 맹종하던 무리와 코바에게 이미 물든 자신의 아들 등 차세대를 어떻게 이끌 것인지, 3편에서 시저의 리더십이 매우 궁금하다.
오은하 회사원·영화진흥위원회 <코리안 시네마 투데이> 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