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블룸버그 전 미국 뉴욕 시장은 임기 후반인 2007년, ‘더 푸르고 더 위대한 뉴욕’ 건설을 위한 30년 비전을 담은 보고서 ‘PlaNYC’를 발표했다. 그 실행자가 ‘뉴욕의 로빈후드’로 불린 여성 교통국장 저넷 사딕칸이었다. 2001년 3월 프랑스 파리에선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과 걷기, 자전거 타기로 가자는 공약을 내건 사회주의자 베르트랑 들라노에가 시장에 당선됐다. 그는 센강 제방을 따라 건설된 13km 연장의 ‘조르주 퐁피두 고속도로’를 폐쇄하고 거기에 모래와 야자수, 인공암벽, 공놀이용 코트 등을 설치했다. 2007년 파리는 버스와 자전거, 노면전차, 통근철도 이용 확대를 통해 자동차 이용을 40%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60%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다음 주인공은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와 그 도시를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차 없는 도시’”로 만든 간선급행버스체제 ‘트란스밀레니오’ 혁명의 주역 엔리케 페냘로사 시장(1998~2000년 재임)이다. 책이 인용한 금메달급 도시에 많이 포함된 신흥국의 주요 혁신도시들은 선진국 도시들을 단순히 모방한 게 아니라 그 한계를 뛰어넘으려 했다. 이 점은 책 2부에서 살피는 ‘외래형 개발’과 ‘내생적 발전’이란 개념에 비춰봐도 중요하다. 일본의 가나자와, 이탈리아 볼로냐, 스페인 몬드라곤의 놀라운 성취들은 외부 추수형이 아닌 내생적 발전 노선을 추구한 결과였다. 폐쇄적 쿠바, 불황 속 볼로냐의 비결 쿠바는 북한과 동일한 상황에 직면했고, 미국으로부터 북한 이상의 제재를 당했으나 오히려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그 비결은 “공동체에 토대를 두고 다양한 영역에서 회복력을 증진시키면서도 사회적인 연대와 전통적인 지식의 부활을 아주 성공적으로 잘 추진했기 때문”이다. 세계의 불황 속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이탈리아 볼로냐도 닮은 점이 있다. 예컨대 볼로냐는 재개발된 건물 바닥 면적의 30%는 재개발 이전의 집세와 같은 수준으로 그곳 주민에게 임대해준다는 내규를 만들어 부자들의 횡포를 제도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사유지의 나무 한 그루도 벌채할 때 시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한승동 <한겨레> 문화부 기자 sdhan@hani.co.kr
마이클 블룸버그 전 미국 뉴욕 시장은 임기 후반인 2007년, ‘더 푸르고 더 위대한 뉴욕’ 건설을 위한 30년 비전을 담은 보고서 ‘PlaNYC’를 발표했다. 그 실행자가 ‘뉴욕의 로빈후드’로 불린 여성 교통국장 저넷 사딕칸이었다. 2001년 3월 프랑스 파리에선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과 걷기, 자전거 타기로 가자는 공약을 내건 사회주의자 베르트랑 들라노에가 시장에 당선됐다. 그는 센강 제방을 따라 건설된 13km 연장의 ‘조르주 퐁피두 고속도로’를 폐쇄하고 거기에 모래와 야자수, 인공암벽, 공놀이용 코트 등을 설치했다. 2007년 파리는 버스와 자전거, 노면전차, 통근철도 이용 확대를 통해 자동차 이용을 40%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60%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다음 주인공은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와 그 도시를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차 없는 도시’”로 만든 간선급행버스체제 ‘트란스밀레니오’ 혁명의 주역 엔리케 페냘로사 시장(1998~2000년 재임)이다. 책이 인용한 금메달급 도시에 많이 포함된 신흥국의 주요 혁신도시들은 선진국 도시들을 단순히 모방한 게 아니라 그 한계를 뛰어넘으려 했다. 이 점은 책 2부에서 살피는 ‘외래형 개발’과 ‘내생적 발전’이란 개념에 비춰봐도 중요하다. 일본의 가나자와, 이탈리아 볼로냐, 스페인 몬드라곤의 놀라운 성취들은 외부 추수형이 아닌 내생적 발전 노선을 추구한 결과였다. 폐쇄적 쿠바, 불황 속 볼로냐의 비결 쿠바는 북한과 동일한 상황에 직면했고, 미국으로부터 북한 이상의 제재를 당했으나 오히려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그 비결은 “공동체에 토대를 두고 다양한 영역에서 회복력을 증진시키면서도 사회적인 연대와 전통적인 지식의 부활을 아주 성공적으로 잘 추진했기 때문”이다. 세계의 불황 속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이탈리아 볼로냐도 닮은 점이 있다. 예컨대 볼로냐는 재개발된 건물 바닥 면적의 30%는 재개발 이전의 집세와 같은 수준으로 그곳 주민에게 임대해준다는 내규를 만들어 부자들의 횡포를 제도적으로 봉쇄하고 있다. 사유지의 나무 한 그루도 벌채할 때 시의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한승동 <한겨레> 문화부 기자 sdhan@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