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강원도 태백시 오투리조트 건설 당시 백두대간보호구역인 함백산의 생태계가 크게 훼손됐다.서재철 제공
일반 스키장으로 사용 가능성 없는데도 가리왕산 활강경기장 건설은 해발고도 800~1400m인 산지 사면에서 폭 20~30m, 길이 3km가량의 면적을 경사도 30도 전후로 깊이 1m까지 파헤치는 토목공사다. 더구나 슬로프 한가운데 제설용 관로를 묻기 위해 길이 2km, 폭 1m, 깊이 1.5m가량을 파헤치는 공사가 포함됐다. 이 때문에 엄격한 산사태 방지 대책을 포함한 복구 대책을 바탕으로 토양부터 종자, 식생의 회복까지 단계적인 노력을 하지 않으면 산림생태를 복원하기 어렵다. 산림생태 복원에 대한 치밀하고 과학적인 계획을 가지고 설계와 시공부터 접근해야 한다는 얘기다. 일주일간의 경기를 위해 일반 스키장 규모의 경기장을 짓는 것도 논란거리다. 가리왕산 활강경기장은 대회 이후 일반 스키장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데도, 경기장 건설비가 일반 관광레저용 스키장 수준인 550억원으로 책정돼 있다. 환경 파괴에 예산 낭비까지 겹쳐지는 셈이다. 특히 일반 스키장처럼 건설하면 복원은 더욱 하기 어렵다. 임시 시설로 짓는 것보다 훼손 정도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일반 관광레저용 스키장으로 설계·시공하는 것은 대회 이후 복원을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든다. 1994년 릴레함메르 겨울올림픽 당시 노르웨이 정부는 대부분의 경기장과 시설을 대회 이후 철거하기 쉬운 가건물로 짓거나 활용도가 아주 높은 방향에서 추진해 재정 부담과 환경 훼손을 최소화했다. 산림청이 요구한 복원 전담 조직은 아예 검토되지 않고 있다. 예산을 담당한 기획재정부, 조직을 담당하는 안전행정부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정부 차원의 올림픽 지원기구에서도 제대로 검토되지 않고 있다. 1998년 일본 나가노 겨울올림픽 때도 가리왕산과 비슷한 숙제가 있었다. 활강경기장이 북알프스 국립공원을 비롯한 산림생태계 보호지역에서 건설돼 논란이 제기되자, 일본 정부는 생태 복원 전담 조직과 기구를 만들어 복원에 심혈을 기울였다. 복원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박사급 인력 10명을 포함해 30여 명에 달하는 전문가들이 상근하는 환경복원연구소를 만들어 생태 복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기업과 지자체의 재앙이 된 리조트 스키장 건설로 산림생태계가 대규모로 파괴된 사례는 많다. 1996년 겨울 유니버시아드대회 때 덕유산국립공원을 파헤친 무주리조트, 1997년 겨울 아시아대회 때 발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파헤친 용평리조트, 2004년 폐광 지역을 진흥한다는 명분으로 함백산 백두대간보호구역을 파헤친 오투리조트 등. 세 곳 모두 주목과 분비나무 등이 살고 있는 생태자연도 1등급 이상인 국내의 대표적 생태보호지역이었다. 특히 ‘특별법’의 특례 조항을 악용해 환경영향평가를 형식적으로 처리한 무주·용평리조트에서는 옮겨 심은 구상나무·주목·분비나무 등이 모두 말라 죽었고, 오투리조트에서는 대놓고 마구잡이로 산림생태계를 파괴했다. 안타까운 것은 이런 생태계 파괴와 환경 훼손 등이 20년 가까이 흐른 지금 가리왕산에서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다. 스키장으로 천혜의 산림과 생태계를 파괴한 무주·용평·오투리조트 등은 환경만 거덜난 게 아니라 부도와 재정 파탄이라는 경제적 손실까지 입었다. 무주리조트의 쌍방울, 용평리조트의 쌍용은 스키장 건설 이후 모두 기업 부도가 났고, 공공투자 방식의 오투리조트는 사업자인 태백시가 재정 파탄을 맞았다. 겨울올림픽은 김진선 전 지사가 유치를 추진했고, 최문순 현 지사가 실제 대회 준비를 책임지고 있다. 지금 계획대로 가면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은 올림픽 역사상 가장 심각한 환경 파괴로 이어질 것이다. 최문순 지사는 이런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 서재철 녹색연합 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