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F4 OTL

742
등록 : 2008-12-30 16:17 수정 : 2009-01-02 10:14

크게 작게

새해 시작되는 드라마 가운데 뭐니뭐니 해도 가장 기다려지는 작품은 한국방송 <꽃보다 남자>다. 일본 만화가 가미오 요코의 동명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드라마의 줄거리를 간단히 요약하면 ‘우연히 귀족 학교에 들어간 서민 가정의 소녀가 4명의 돈 많은 꽃미남들을 만나 좌충우돌하며 상류층의 배타적인 문화에도 기죽지 않고 온갖 음모와 방해 공작을 넘어 해피엔딩을 맞이하는’ 이야기다.

<꽃보다 남자> 한국방송 제공

신데렐라와 캔디를 적절히 조합한 듯한 설정은 사실 그리 특별할 것도 없지만 제1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이루어지기도 한참 전인 1990년대 중반부터 <꽃보다 남자>의 해적판 만화는 전국 여학교 교실을 휩쓸었다. 그리고 고등학생 주제에 부와 권력과 카리스마를 겸비한 네 꽃미남 ‘F4’의 매력에 넘어가 방학숙제도, 고입 연합고사 준비도 잊고 밤을 지새우는 여중생이었던 나는 어느새 서른이 다 되어 이 드라마의 제작발표회를 취재하러 갔다.

마카오며 뉴칼레도니아며, 이름조차 생소한 지역으로 해외 로케이션을 다녀왔을 만큼 <꽃보다 남자>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은 상위 1% 부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다. 주인공인 고등학생들이 승마와 골프는 물론 사교댄스를 추거나 콘트라베이스를 연주하는 것도 일상이다. 하필 대통령이 재래시장을 찾아가 배추를 사며 눈물지어야 할 정도로 심각한 불경기에 방영이 시작되다 보니 배우와 제작진들은 ‘럭셔리한 배경’보다는 ‘재미와 감동’을 눈여겨봐달라며 몹시 조심스러워했지만, 사실 화면에 등장하는 대저택이나 명품 의류보다 더 화려한 것은 이 작품에서 설정된 대한민국 상류층의 면면이다.

글로벌 규모의 대한민국 대표 재벌 ‘신화그룹’의 후계자 구준표(이민호), 전직 대통령의 손자 윤지후(김현중), 독립운동가의 자손이자 예술 명문가의 차남 소이정(김범), 신흥 부동산 재벌의 후계자 송우빈(김준). 이 아름답고 흠잡을 데 없는 ‘F4’의 배경은 그야말로 ‘만화적’이고 낯설다. 일단 우리가 알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재벌 후계자는 편법 상속과 탈세의 대표주자인데다, 전직 대통령 아들들은 ‘소통령’ 아니면 ‘낙하산’으로 불리며 줄줄이 감옥을 오갔고, 독립유공자 자손들은 광복 뒤 친일파가 득세하면서 철저히 소외당해 설움과 가난을 대물림하고 있는 게 현실이니 말이다. 그나마 극중에서 전통 있는 폭력 조직 ‘일심파’가 건설업에 뛰어든 뒤 막강한 현금 동원력을 지닌 신흥 재벌 ‘일심건설’로 성장했다는 설정이 정곡을 찌를 뿐이다.

그래서 상류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커녕 오로지 ‘강부자’만이 있는 이 나라에서 예나 지금이나 서민인 나는 이제 드라마를 보면서도 F4의 매력에 순수하게 빠져들지 못하고 그들이 앞으로 대학은 제 실력으로 갈지, 군대는 과연 제대로 갈지 따위를 마음 한구석에서 끊임없이 의심하게 될 것 같다. 과거 <꽃보다 남자>의 해적판 제목이 ‘오렌지족’에서 나온 <오렌지 보이>였고, 15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그 이름이 어색하지 않게 느껴져 서글픈 것은 그 때문이다.

최지은 <10매거진> 기자·10-magazine.com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