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1만원 김연수(38·사진)씨의 여섯 번째 장편소설 <밤은 노래한다>는 1930년대 초 북간도의 조선인 사회를 뒤흔들었던 ‘민생단’ 사건을 소재로 삼는다. 민족 독립과 계급 해방을 꿈꿨던 조선 혁명가들이 서로를 일제의 첩자로 몰아 무려 500여 명의 희생자를 낳은 어처구니없는 비극이 민생단 사건이었다. 작가는 김해연이라는 만주철도 소속 젊은 측량기수를 사건의 한복판에 떨어뜨려놓음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이 역사적 비극의 뼈대와 속살을 만져볼 수 있도록 한다. 소설은 김해연이 사랑하는 연인 이정희의 편지를 받는 것으로 문을 연다. 용정의 여자학교 음악선생인 정희는 해연의 거듭되는 편지와 구애에도 확실한 대답을 미루다가 마침내 처음으로 편지를 보내는데, 그것은 그가 자살을 앞두고 쓴 마지막 편지이기도 했다. 정희의 자살과 편지는 시인을 꿈꾸던 낭만적인 청년 해연을 삽시간에 역사의 격랑 속으로 밀어넣는다. 정희가 혁명 조직의 일원이었다는 사실을 해연은 일본 경찰에게 연행돼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야 알게 된다. 조사 과정에서 사토 경부는 해연에게 묻는다. “이정희도 너를 사랑했는가?” 의아해하는 해연에게 사토는 서류 한 장을 내민다. 그 서류는 해연에게 정희를 소개해준 박길룡이 정희의 애인이라 말하고 있었다. 게다가 상처에 말뚝을 박듯 사토는 덧붙이지 않겠는가. “너는 분명히 운명 때문에 이정희를 사랑한 게 아니라 누군가의 치밀한 계획에 따라 이정희를 사랑하게 된 거야.” 정희의 죽음 이전에는 그토록 자명해 보였던 진실이 사토가 내민 서류를 보는 순간 한없이 흐릿하고 모호하게 바뀌고 만다. “그로부터 내가 알던 세계는 완전히 허물어졌고 나는 나를 둘러싼 세계의 이면을 똑똑하게 보게 됐다.” 똑똑하게 보게 됐다고는 하지만, 그에게는 아직도 확인해야 할 것들이 더 많이 남아 있었다. 아편에 빠져들다가는 자살을 시도하는 등 한동안 자신을 내팽개쳤던 해연은 마침내 정희의 죽음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한 ‘대장정’에 나선다. 그 장정의 끝에서 그는, 정희가 정말로 자신을 사랑했는지에 대한 대답을 얻을 수 있을 터였다.
김연수(38)씨. 한겨레 김종수 기자
최재봉 기자 한겨레 문화부문 bong@hani.co.kr *<한겨레> 2008년 10월4일치 12면에 실린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