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21 ·
  • 씨네21 ·
  • 이코노미인사이트 ·
  • 하니누리
표지이야기

[학술] 동아시아, 논쟁의 릴레이를 시작하자

520
등록 : 2004-07-28 00:00 수정 :

크게 작게

[학술- 다시, 동아시아!]

▣ 유현산 기자 bretolt@hani.co.kr

90년대 중반부터 한국 지식계에 퍼져나간 동아시아론은 10년의 세월을 거치며 진화를 거듭했다. 최근에는 국가가 동아시아 중심국가라는 정책적 과제마저 내걸 정도다. 현실 사회주의의 몰락으로 대안적 이데올로기가 요청될 뿐 아니라 우리의 근대에 대한 반성과 탈근대를 사유하던 시기, 동아시아론은 근사한 ‘발명’이 아닐 수 없었다.

일러스트레이션/ 이강훈
두서없이 쏟아져나온 그간의 동아시아론을 거칠게 요약하면 세 가지 정도의 갈래로 다듬을 수 있다. 첫째는 지금까지 동아시아 담론을 주도적으로 이끈 최원식·백영서 교수 등 계간 <창작과 비평>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론이다. 이들은 한반도 분단 체제를 푸는 작업을 통해 동아시아의 평화를 확보하고 서구적 근대의 진정한 대안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둘째는 함재봉·유석춘 교수 등이 이끈 ‘유교자본주의론’이다. 70, 80년대 일본과 ‘네 마리의 용’이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하자 서구는 기독교 자본주의와 대비되는 유교 자본주의 개념을 만들었다. 이들은 유교적 가치와 자본주의 경제 발전의 결합으로 공동의 번영을 추구하자는 입장이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정경유착을 기반으로 한 아시아 경제체제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사그라졌다. 셋째는 동아시아 문화론으로 뭉뚱그릴 수 있는 다양한 담론들이다. 이들은 유·불·선과 한자문화란 공동의 경험을 가진 동아시아를 가정한다. 계간 <상상>의 편집위원 정재서 교수 등은 동아시아적 문화적 정체성의 발견, 전통문화와 현대성의 창조적 결합 등을 모색한다. 그 외에도 한국이 문명의 중심 노릇을 해야 한다는 시인 김지하씨의 동아시아 문명론 등을 들 수 있다.

동아시아론의 역사가 지속되고 중요성이 부각될수록, 논쟁의 빈곤함은 더욱 두드러진다. 동아시아는 국가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철저한 성찰을 하고 있는가. 이보다 앞서 과연 ‘동아시아’라는 실체가 있는가. <한겨레21>은 지금 다시 동아시아론을 돌아볼 필요가 있음에 공감하고, 릴레이 기고를 마련했다. ‘다시, 동아시아’는 그 어떤 반론과 논쟁에도 문을 열어놓고 있다(제안은 bretolt@hani.co.kr로).



좋은 언론을 향한 동행,
한겨레를 후원해 주세요
한겨레는 독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취재하고 보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