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500여년 전 중국 대륙에선 제자백가들의 토론과 저술, 유세 등으로 사상의 대폭발이 거듭됐다. 유가(儒家), 도가(道家), 음양가(陰陽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묵가(墨家), 종횡가(縱橫家), 잡가(雜家), 농가(農家)…. 후세에 모두 189개로 분류될 춘추전국시대의 이 사상가 집단은 저마다 천지의 도와 인간의 본질 그리고 치세와 천하통일을 위한 방략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그로부터 2500여년이 흘렀다. 천하를 주름잡던 제가백가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어느 문파가 끝까지 살아남았을까? 과연 21세기에 이르러 마지막 승자는 누구라고 할 수 있을까?
진시황의 천하통일로 최초의 패자임을 자랑하던 법가는 진나라에 이어 통일천하를 장악한 한나라가 유가를 국가의 기본이념으로 삼으면서 역사의 전면에서 후퇴해야 했다. 그 유가조차 지금은 국가의 지도이념이라는 지위에서 내려와 그저 개인의 처세나 인생관의 토대로나 작동할 뿐이다.
여기 한 사상가가 있다. 그는 무엇보다 유가, 도가 등 형이상학적 우주관이 주류를 이루다시피 하던 춘추시대에 국가사회의 물적 토대를 이루는 자원의 제한성을 꿰뚫어보고 있었다.
“전쟁은 국가의 대사로서 백성들의 생사와 국가의 존망이 걸려 있어 신중하게 살피지 않을 수 없다. …무릇 군대를 운용할 때는 마차 1천대, 군수품 수송용 마차 1천대, 무장병 10만으로 구성된다. 1천리나 되는 곳에 군량을 보내려면 안팎의 경비와 빈객들의 접대비, 군수물자의 조달과 차량과 병기의 보충 등을 위해 1일 1천금을 써야 10만 군대를 일으킬 수 있다. 전쟁에서 이길지라도 오래 끌면 병사들이 지쳐 전력이 약화된다. …그러므로 전쟁은 서툴더라도 빠르게 끝내야 하며, 오래 끌면 안 된다. 전쟁을 오래 끌고서 국가에 이익이 된 적은 여태껏 한번도 없었다.”
손자가 오나라 왕의 후궁에 있는 미녀 180명을 동원해 군사훈련을 하는 장면의 상상도(왼쪽). 손자의 조각상(오른쪽).
이 대전제 아래 그는 전쟁을 이기기 위한 기술-병법을 시계(始計), 작전(作戰), 모공(謀攻), 군형(軍形), 병세(兵勢), 허실(虛實), 군쟁(軍爭), 구변(九變), 행군(行軍), 지형(地形), 구지(九地), 화공(火攻), 용간(用間) 등 13편을 한권의 책으로 묶어 세상에 전했다. <손자병법>, 제가백가 가운데 21세기 들어 사라져가는 다른 문파를 압도한 채 오히려 더욱 각광을 받는 문파는 바로 손자를 시조로 둔 병가인 것이다. 그러나 병가의 부활을 가져오는 이유는 슬프도록 역설적이기도 하다. 아직도 세상 곳곳에서는 여전히 전쟁이 계속되고 있고, 전쟁을 이기려는 사람들의 경쟁은 무제한적으로 요동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처절한 현실 때문에 지금도 웨스트포인트로부터 화랑대에 이르기까지, 블라디보스토크로부터 케이프타운에 이르기까지 전세계 거의 모든 나라의 사관학교에서는 손자의 병법이 어김없이 강의되고 있는 것이다.
사마천의 <사기열전>을 ‘손자-오기열전’ ‘오자서열전’ 등을 종합하면 손자는 대략 이런 인물로 묘사할 수 있다.
“손자는 본명이 손무이다. 제나라 사람으로 병법이 뛰어나 오자서의 추천으로 오나라 왕 합려의 장군이 됐다. 손무는 합려가 오른 지 3년째 되던 해 오자서 등과 함께 초나라를 쳐서 서라는 지역을 빼앗고 예전에 초나라에 투항한 두 공자를 사로잡는 승리를 거둔다. 합려는 승세를 몰아 초나라의 수도 영(?)까지 쳐들어가려 했으나 손무가 만류했다.
“백성들이 지쳐 있으니 아직은 때가 아닙니다. 잠시 기다리십시오.”
합려 4년, 오나라는 다시 초나라를 공격해 육과 잠 땅을 차지하고, 그 이듬해에는 월나라를 공격해 승리했다. 합려 6년에는 초나라가 오나라를 쳐들어왔으나 오자서가 나가 예장에서 초나라 군대를 크게 무찌르고 초나라의 거소까지 빼앗았다.
합려 9년, 오나라 왕은 오자서와 손무에게 물었다.
“앞서 그대들은 초나라의 수도 영을 칠 때가 아니라고 했는데 지금은 어떻소?”
두 사람은 이렇게 대답했다.
“초나라 장군 자상은 탐욕스러워 속국인 당나라와 채나라가 원한을 품고 있습니다. 왕께서 대대적으로 초나라를 치려면 반드시 당나라와 채나라를 우리편으로 끌어들이십시오.”
합려는 이 조언을 좇아 군사를 모두 동원해 당, 채 두 나라와 힘을 합쳐 초나라를 공격했다. 승기를 잡은 오나라는 5차례의 접전 끝에 마침내 초나라 수도 영을 함락시켰다. 이렇게 오나라는 오자서와 손무의 계책을 채용해 서쪽으로는 강한 초나라를 깨뜨리고, 북쪽으로는 제나라와 진나라를 눌렀으며, 남쪽으로는 월나라를 복종시켰다.”
<손자병법>, 일본 경영자 추천도서 1위
<사기열전>에 따르면 손무는 여기까지만 나온다. 오나라가 합려의 아들 부차로 넘어가 ‘와신상담’으로 유명한 오월전쟁의 국면으로 넘어간 뒤에는 손무의 존재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와 명콤비를 이루던 맹장 오자서는 계속 오나라의 주역으로 등장하는 데 반해 손무는 그 사이 죽었는지 은퇴했는지조차 전혀 기록돼 있지 않다.
어쨌든 <손자병법>,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손자>라는 저서는 후세로 전해져 21세기의 승자로 부활한 셈이다.
21세기 들어 손자병법은 군사 세계뿐만 아니라 오히려 비즈니스 세계에서 그 탁월성을 인정받아 더욱 화려하게 각광받고 있다.
-<불패전략, 최강의 손자>(일본)
-<자기관리 손자병법>(일본)
-<손자병법과 전략경영>(싱가포르)
-<손자와 비즈니스의 기술>(Sun Tzu and the Art of Business)(영국)
-<경영자를 위한 손자병법>(The Art of War for Executives)(미국)
-<관리자를 위한 손자병법>(The Art of War for Managers)(미국)
-<투자 손자병법>(Sun Tzu on Investing)(미국)
-<파란 눈이 들려주는 손자병법 세일즈 이야기>
(The Art of War & The Art of Sales)(미국)
-<일하는 여자들의 손자병법>
(Working Woman’s Art of War: Without Confrontation)(미국)….
일본에서는 경영자를 위한 추천도서 가운데 1위를 다투는 책이 바로 <손자병법>이다. 싱가포르의 위초후 교수 같은 사람은 “일본의 최고경영자들이 <손자병법>을 애독했다는 역사적 맥락과 함께, 남이 개발한 아이디어와 작품을 더욱 완전하게 만들어내는 일본인의 독특한 개선기술을 고려한다면, <손자병법>이야말로 오늘날 일본의 성공을 가능케 한 그들 특유의 경영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책”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일본이 2차대전 이후 수많은 제품과 산업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석권해나가는 전략이 군사적이며 손자의 전쟁전략과 매우 유사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일본에서 주택 및 화학제품으로 유명한 세키스이(積水) 그룹은 <손자병법>의 군형편에 나오는 표현을 따서 그룹의 이름을 짓기까지 하고 있다.
“승리하는 자는 싸움을 주도하면서 천길 높은 골짜기에 ‘가두어둔 물’(積水)을 한꺼번에 쏟아내듯 쌓여 있는 힘을 최대한 발휘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승리의 기세인 군형이다.”
일본의 맥주업계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던 기린맥주를 시장점유율에서 추월한 아사히맥주의 나카조 다카노리 회장을 비롯해 스미토모생명의 우에야마 야스히고 회장, NEC의 세키모토 다다히로 회장 등 유수한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손자병법을 응용한 경영 성공 사례를 공개하고 있는 것이다.
21세기형 금융과 IT분야에서도 위력
이른바 최첨단을 자랑하는 21세기형 금융과 정보기술(IT) 분야에서도 손자의 위력은 똑같이 발휘된다. 손자 마니아로 유명한 일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는 아예 손자의 이론에 자신의 경영철학을 합쳤다는 ‘손자의 제곱병법’을 세상에 공개하기까지 했다.
일류공수군(一流攻守群)
도천지장법(道天地將法)
지신인용엄(智信仁勇嚴)
정정략칠투(頂情略七鬪)
풍림화산해(風林火山海)
“일류 경영은 공격과 수비의 균형을 취하며, 무리를 지어 싸워야 한다.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선 도(깨끗한 정치), 천(날씨 등 기후조건), 지(지리), 장(지도자), 법(규율·효율)의 5가지 조건을 갖춰야 한다. 장수(지도자)는 지혜, 신뢰, 어짐, 용기, 엄격함의 5가지를 충족시켜야 한다. 그리고 정상에 올라서 전체를 바라보고 전략을 세운 뒤 7할의 승산이 있을 때라야 싸운다. 이동은 질풍처럼, 정지 상태에선 숲처럼, 공격은 거센 불길처럼, 방어는 산처럼 하며, 삼킬 때는 바다처럼 하라.”
컴퓨터업계의 최강자이자 세계 최고의 부자이기도 한 빌 게이츠도 <생각의 속도>에서 손자를 자주 인용하고 있어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영에 끼친 그의 영향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고, 휼렛패커드 회장인 칼리 피오리나 회장도 취임식에서 손자를 인용한 바 있다. 국경을 넘어, 산업의 경계를 넘어, 시대의 차이를 넘어 손자의 신화는 세상을 여전히 흔들고 있다.
 |
 | |
<손자병법>은 손무 작품
1991년 미국이 이라크를 공격한 ‘사막의 폭풍’작전에서 ‘손자병법’은 다시 한번 위력을 발휘했다.(사진/ GAMMA) 현재 <손자>라는 책명이 전해지고 있는 <손자병법>은 그 치밀하고 뛰어난 내용 때문에 손무가 살던 춘추시대라기보다는 그 이후 전국시대에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손무가 사마천의 <사기>에 2번밖에 등장하지 않고, 다른 고전에도 그 이름이 거의 남아 있지 않는 등 불확실한 요소들 때문이다. 이에 따라 두 사람의 손자 가운데 손무보다 100여년 뒤인 전국시대의 손빈이 <손자>의 저자일 것이라는 주장이 유력하게 제기되기도 했다.
그런데 1972년 4월 중대한 사건이 벌어진다. 중국 산둥성 임기라는 마을 교외에서 한나라 시대 무덤 2개를 발굴한 결과 <손자>의 연대와 저자를 추정케 하는 죽간들이 발견된 것이다. 같이 출토된 엽전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기원전 140~181년의 것으로 분석되는 총 4942매에 이르는 죽간은 글귀에 약간 다른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손자>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고전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손자>의 경우 현재 전해진 13편의 편명을 토대로 대략적으로 현존하는 것과 같은 본문을 복원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손자>와 별도로 당시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병법을 적은 상당량의 죽간의 존재도 확인됐다. 그 내용을 해독한 결과 놀랍게도 제나라 위왕과 ‘손자’의 문답(여기서의 손자는 당연히 손빈일 수밖에 없다), 위왕과 장군 전기 그리고 ‘손자’가 주고받았던 말, 나아가 ‘손자’가 위나라 장군 방연을 생포한 작전의 과정 등이 서술돼 있었다. 손무 아닌 손빈의 병법인 셈이다.
중국 학계는 이 발굴과 그 이후의 연구를 토대로 대략적으로 이런 결론을 내렸다.
1. 오늘날 <손자>(손자병법)라고 전해지는 책은 <사기>에 나오는 ‘13편’으로 이뤄진 <손자병법>과 동일한 것으로 손무가 쓴 것이다.
2. 새로 발견된 자료(손빈의 병법을 담고 있는 것)는 <사기>에 나온 손빈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병법’과 동일하다.
(이 견해를 따서 이번 글에서는 <손자병법>의 저자를 손무로 국한하기로 한다.)
| |  |
 |
 |
 | |
손자, 베트남에서 이라크까지
최근에 벌어진 전쟁 가운데 손자를 많이 응용한 전쟁으로는 1991년 미국 등이 이라크를 공격한 제1차 걸프전쟁(사막의 폭풍)이 있다. 당시 다국적군 사령관이었던 노먼 슈워츠코프 장군은 기자가 걸프전에서 채택할 전략에 대해 묻자 <손자병법>의 ‘허실편’에 나오는 ‘실로써 허를 공격한다’는 말을 인용해 이렇게 대답했다.
“나는 우리의 장점을 이용해 상대방의 약점을 공격하고 싶습니다.”
실제로 다국적군은 ‘사막의 폭풍’ 작전에 들어가며 플라스틱으로 만든 헬리콥터와 전차 그리고 150명의 병사가 배치된 기지를 만들고 무선으로 거짓 정보를 흘려보냈다. 나아가 페르시아만에 미 해병대를 대기시켜 마치 동쪽 바다에서 기습공격을 할 것처럼 위장하다가 반대편에서 기습했다. 당시 걸프전에 파견된 미군 해병대는 배낭에 <손자병법>의 번역본을 휴대하고 있었으며, 헤드폰을 통해서도 그것을 들을 수 있도록 카세트 테이프까지 지니고 있었다. 결국 이 걸프전에선 이라크군 10만명 이상이 전사한 데 반해 다국적군은 사망자 199명, 부상자 388명이라는 피해밖에 입지 않았다. <손자병법>이 사실상 하이테크 전쟁의 효시를 이루는 걸프전에서도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 것이다.
미국이 이처럼 손자를 연구하고 전쟁에 응용하기 시작한 것은 베트남 전쟁으로부터 비롯됐다. 역으로 <손자병법>을 최대로 응용했다고 할 수 있는 베트남 해방세력에 패배한 미국은 그 교훈으로 손자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걸프전에서는 (1) 베트남식의 장기전은 절대로 피한다. (2) 미국 본토로부터 지시를 받아 현장의 혼란을 가중시키는 지휘체계의 혼선은 되풀이하지 않는다. (3) 오히려 우리가 속임수를 적절히 활용해 적을 혼란시킨다는 방식을 채택했다. 실제로 슈워츠코프나 콜린 파월 등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해 이런 경험을 잘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2차 걸프전쟁이라 할 수 있는 현재의 이라크 사태에서는 전혀 다른 길로 가고 있다. 오히려 미군은 이라크 저항세력의 손자병법적 다각 공세에 휘말려 고전하는 양상이다. 압도적 화력의 우위에 취했기 때문일까? 럼즈펠드 등 미군 지휘부는 또다시 손자병법의 교훈을 잊어버린 듯하다.
| |  |
 |
 |
 | |
[온 + 오프 항해지도]▶ 중고생 - <제자백가> 진순신 등/솔 - <만화중국고전-손자병법> 채지충/대현출판사 ▶▶ 대학생 이상 - <불패전략-최강의 손자> 모리야 아쓰시/국일증권경제연구소 - <자기관리 손자병법> 후타미 미치오/인디북 - <사기열전> 사마천/을유문화사 - 〈Sun Tsu and the Art of Business〉 Mark Mcneilly/ Oxford University Press - www.amazon.com ☞ 검색 ☞ sun tzu - www.yahoo.com ☞ 검색 ☞ sun tzu
| |  |
 |
 |
 | |
[COMING SOON][%%IMAGE8%%]자료제공, 도움말씀 기다립니다. okh1234@empal.com▶ 다음호: 제갈량- ‘동방 최고의 참모’ ▶▶ 다다음호: 석가- 경영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