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_선택의 시간 박근혜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는 명백히 드러난 ‘연설문 유출 사과’를 제외하면 최순실과 관련된 모든 의혹에 “모른다”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대통령은 묵묵부답의 불통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워터게이트’에서 리처드 닉슨의 사임에서 보듯, 잘못도 문제지만 잘못의 은폐는 더욱 결정적 문제가 된다. 은폐의 실패가 낳은 분노는 걷잡지 못한다.
김진수 기자
통치력 회복은 불가능하다. 완전히 신뢰를 잃었다. 권력의 정당성을 떠받치는 두 기둥은 도덕성과 효율성이다. 이미 무능·무책임 정권으로 판명돼 효율성이란 기둥이 무너진 상태에서 도덕성마저 파탄 났다. 국민들 사이에서 ‘하야’라는 말이 나온다. 대통령은 국정을 책임지겠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여야의 추천을 받아 책임총리든, 거국내각이든 자신보다 신뢰가 높고 역량 있는 사람에게 권한을 넘겨야 한다. 박 대통령은 어떤 선택을 할까. 또 오기를 부릴 것 같다. 일부 청와대 수석이나 비서관 등을 교체하며 다시 국민에게 사과하는 정도로 넘어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불에 기름을 붓듯이 민심을 격발할 거다. 박 대통령은 지금 공황 상태일 것이다. 청와대의 방대한 공적 조직 대신 최순실씨에게 굉장히 의존했는데 그가 국민적 지탄의 대상이 되어 도피한 상태 아닌가. 이번 사태가 미칠 폐해는. 어떤 학자는 “국치의 세계화”라는 말을 하더라.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 주변에서 ‘친박’이며 호가호위하고 권력을 누렸던 사람들은 정치권에서 퇴장해야 한다. 정치에는 무서운 책임이 뒤따른다는 것을 우리는 보여준 적이 없다. 꼭 책임을 져야 하고, 또 응징해야 한다. 박정희 신화에 취했던 국민들도 성찰 필요 대단히 외람되지만 하고 싶은 말이 있다. 허상의 지도자를 뽑은 국민이 성찰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정희 신화에 취해 허상을 만들었다. 이러면서 어떻게 민주주의의 주권자로 살 수 있겠는가. 정치문화 역시 되돌아봐야 한다. 제도적으로는 민주화가 됐지만 지도자들의 행태는 권위주의적이었다. 이명박 정권에서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박근혜 대통령이 등장해서는 권위주의 시대로 되돌아갔다. 국민이 위기를 기회로 만들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국민은 그런 역량을 보여줘왔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21_최순실_박근혜_특별판_구매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