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운·홈리스 쉼터…불평등 바이러스가 퍼지는 접촉지대제1357호 접경인문학 연재 순서 ① 팬데믹과 접경② 코로나 시대, 국가와 민족의 ‘귀환’ ③ 행성적 사이버네틱스 ④ 국경여행, 경계에 선 삶들의 만남 ⑤ 접촉지대에 산다는 것코로나19 참상이 아직 완전히 파악되지는 않았지만, 확실한 하나는 이 팬데믹이 오랫동안 존재해온 불공정과 불평등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필자가 사는...
BTS, 다음은 ‘BTG’ 국경여행 거버넌스제1353호 접경인문학 연재 순서 ① 팬데믹과 접경② 코로나 시대, 국가와 민족의 ‘귀환’③ 행성적 사이버네틱스④ 국경여행, 경계에 선 삶들의 만남일상이 위협받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이다. 2019년 등을 먼 미래로 내다본 리들리 스콧의 공상과학(SF) 영화 <블레이드 러너>와 더불어 자랐고, ...
지구라는 행성의 경계는 어디인가제1351호 코로나19 위기는 국가, 공동체, 인간의 경계와 교류에 대한 인식을 근본부터 뒤흔들고 있다. 근대국민국가들이 성벽처럼 구축한 국경이 한낱 바이러스에 무기력해진 지금, 정치·지리·문화적 접경 지역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이 절실하다. <한겨레21>은 중앙대 접경인문학연구단과 함께 그 가능성을 ...
더 진해진 국경선, 외면받는 소수자제1349호 연재 순서 ① 팬데믹과 접경② 코로나 시대, 국가와 민족의 ‘귀환’자본주의에는 일종의 ‘양가성’이 내재해 있다. 한편으로, 노동자에게는 국경이 있어도 대자본에는 국경이 없다. 삼성 휴대전화는 흔히 ‘한국 대표 상품’으로 거론되지만, 사실 삼성 휴대전화 전체 생산량 중 국내 생산은 6% 정도밖에 안 ...
인간이 그어놓은 경계, 자기가 판 함정제1347호 연재 순서① 팬데믹과 접경 코로나19 위기는 국가, 공동체, 인간의 경계와 교류에 대한 인식을 근본부터 뒤흔들고 있다. 근대국민국가들이 성벽처럼 구축한 국경이 한낱 바이러스에 무기력해진 지금, 정치·지리·문화적 접경 지역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이 절실하다. <한겨레21>은 중앙...